본 연구는 디지털 놀이치료에 대한 국내 놀이치료자의 인식, 임상 적용 실태, 교육 요구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놀이치료 관련 석사과정 이상의 학력을 보유하고 한 사례 이상의 놀이치료를 진행한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내용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82.6%는 디지털 놀이치료에 대해 전혀 모르거나 거의 모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디지털 놀이치료를 ‘디지털 매체 활용 놀이치료’, ‘원격 또는 비대면 놀이치료’, ‘온라인 게임 놀이치료’라고 정의하였다. 디지털 놀이치료에 대한 인상은 중립 42.8%, 부정 31.0%, 긍정 26.2%였으며 놀이치료자의 82.6%는 디지털 놀이치료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디지털 놀이치료를 임상 현장에 적용하는 놀이치료자는 25.1%였고 내담자의 관심사를 검색하고 공유하는 방식을 활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셋째, 놀이치료자의 90.4%는 디지털 놀이치료 교육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놀이치료 교육의 방향성과 놀이치료자의 윤리적 태도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놀이치료에 대한 국내 놀이치료사의 인식 및 활용에 관한 실태를 탐색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wareness levels of Korean play therapists regarding Digital Play Therapy(hereafter DPT), its clinical application status, and educational deman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15 participants who had completed graduate-level education in play therapy and had experience conducting at least one play therapy ca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both SPSS 25.0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82.6% of Korean play therapists had little to no knowledge about DPT. They defined DPT as ‘play therapy utilizing digital media, online games, artificial intelligence(AI), virtual reality(VR),’ and ‘remote or non-face-to-face play therapy.’ Second, 25.1% of play therapists applied DPT in clinical settings, with the highest response. This pointed to the utilization of searching and sharing the topics of interest among their clients. Third, 90.4% of play therapists expressed an interest in DPT educ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regarding the direction of DPT education and ethical attitudes of play therapists were discussed. This study provides a number of interesting insights into the awareness levels and utilization of DPT among Korean play therapists, serving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future research on D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