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단방향 복선 항공로 안전평가모델을 활용한 국내 Offset 절차 안전도 분석
Safety evaluation of the domestic Offset procedure using the unidirectional dual airway collision risk model
박세은 ( Se-eun Park ) , 김휘양 ( Hui-yang Kim )
UCI I410-ECN-151-24-02-088859905

항행 정밀도 증가는 항공교통 수용량을 개선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역 환경을 조성하였으나, 항공안전 측면에서는 항공기 간 충돌확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항공기가 고도 분리에 실패하더라도 좌우 위치 오차를 갖는 경우 충돌로 이어지지 않지만, 좌우 위치 정밀도가 증가하면 위치 랜덤성이 줄어들어 항공기 충돌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국제민간항공기구는 항공기를 항공로 중심선으로부터 의도적으로 이탈시키는 SLOP (Strategic Lateral Offset Procedures) 절차를 도입하였으며, 우리나라 또한 이와 유사한 Offset 절차를 운영하고 있다. Y579 항공로는 22년 말 복선화되기 전까지 offset 절차로 운영되었으며, Y579 offset 항적 분석결과 SLOP 절차와 달리 단방향 복선 항공로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단방향 복선 항공로 및 offset 절차에 적용 가능한 안전평가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Y579 Offset 절차에 대한 안전평가를 수행하였다.

Sophisticated Air Navigation System has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capacity of airspace capacity, leading to an efficient airspace environment. However, it has acted as a factor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collision. When an aircraft fails to maintain vertical separation and instead exhibits lateral positional errors, it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a collision. However, as the lateral positional accuracy increases, the randomness of aircraft positions decrease, resulting in an elevated probability of collisions. Consequently,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has introduced Strategic Lateral Offset Procedures(SLOP), intentionally deviating aircraft from the centerline of airways. Likewise, South Korea also operates Offset procedure. The Y579 was operated using the Offset before its conversion to a dual airway and the analysis of the Offset track revealed that it was being operated similarly to a unidirectional dual airway. This paper develops a safety assessment methodology applicable to unidirectional dual airways, and applies it to perform a safety assessment of the Y579 Offset procedure.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이론적 배경
Ⅳ. 안전평가 방법론 개발
Ⅴ. 안전평가 방법론 적용
Ⅵ. 결 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