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항공 안전을 위하여 안전관리시스템을 항공 분야에 도입하게 되었으며, 안전관리시스템과 국가안전프로그램의 이행을 의무화하였다. 항공사의 안전관리 시스템의 활성화는 조직 구성원들에게 단순히 필요한 규정을 만들고 그것을 지킬 것을 요구하는 차원이 아니라 비행안전을 도모하고 이를 향상하고자 하는 안전문화가 실질적으로 조직 내에 정착되어야 가능하다. 따라서 항공사의 안전문화는 안전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안전관리시스템의 주요한 핵심 변수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설문의 기초자료였던 유럽 조종사 안전문화의 인식도에서 나타난 자료와 국내 운항승무원의 안전문화 인식도에 대한 통계수치를 비교하여 두 집단 간의 안전문화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항공사 안전문화에 대한 성과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introduced a safety management system in the aviation sector for aviation safety and mandated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national safety programs. The activation of the airline's safety management system is not just a requirement for organizational members to create and comply with necessary regulations, but a safety culture to promote and improve flight safety must be established within the organization. Therefore, the safety culture of airlines acts as a major key variable i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directly affects safety performance. This study compared the data from the European pilot safety culture awareness, which was the basic data of the survey, with statistics on the safety culture awareness of domestic flight attendant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afety culture between the two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