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0
18.97.9.170
close menu
Accredited
통합교육과정의 학교자율시간 적용 가능성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applicability of ‘school autonomous hours’ to the integrating curriculum
박일수 ( Park¸ Il-soo )
DOI 10.29096/JEE.36.3.11
UCI I410-ECN-151-24-02-088858533

이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신설되는 학교자율시간의 적용 가능성을 통합교육과정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단위 학교에서는 교과 및 학문 영역의 구분 없이 특정 주제와 개념을 중심으로 서로 관련 있는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통합하여 새로운 과목이나 활동을 개발하여 학교자율시간을 편성하여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통합교육과정의 아이디어가 학교자율시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학교자율시간의 이론을 탐색하고, 통합교육과정의 4가지 유형, 즉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체험중심 통합교육과정, 기능중심 통합교육과정, 학년 간 통합교육과정이 학교자율시간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체험중심 통합형 교육과정 유형에 기반한‘K-culture 문화 박람회’학교자율시간 프로그램을 예시적으로 개발하여, 통합교육과정의 학교자율시간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통합교육과정이 학교자율시간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school autonomous hours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ng curriculum. Schools have the potential to enhance their development by integrating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es/skills, values/attitudes that are interconnected, and by focusing on specific topics and concepts, without differentiating between subjects and academic areas. Therefore,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concept of an integrating curriculum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during school autonomous hours.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y of school autonomous hours, which was newly introduc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identified four types of integrating curriculum that could be implemented during these hours: subject-centered, experience-centered, function-centered, and integration between grades. Finally, the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operating school autonomous hours based on the experience-centered integrating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e integrating curriculum will be used as a method of designing a school autonomous hours program.

Ⅰ. 서론
Ⅱ.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이해
Ⅲ. 통합교육과정과 학교자율시간과의 관계
Ⅳ. 통합교육과정의 학교자율시간 적용 가능성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