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교육과정의 개정은 교과의 수업 및 연구 방향에 큰 영향을 끼친다. 2022 개정 음악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중 하나는 ‘창작’이 독립 영역으로 제시된 점이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우리나라 음악 교육과정 창작 내용의 변화 양상을 초등학교 3~6학년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2022 개정 음악 교육과정과 외국 음악 교육과정을 ‘창작’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1차 교육과정부터 개정 시기마다 주요하게 작용해 온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고 교육과정 변천에 따라 음악 교육과정에 제시된 창작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2022 개정 음악 교육과정과 외국의 음악 교육과정을 창작 내용 및 성취기준 중심으로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제시 방식의 변화에 따라 창작활동에서도 내용이 요목 중심, 성취기준 중심의 순서로 제시되어왔으며 핵심역량과 관련하여 2022 개정 음악 교육과정에서는 창작활동에서 창의성 역량과 자기주도성 역량이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 음악 교육과정으로는 독일, 미국, 싱가포르, 캐나다의 음악 교육과정을 선정하여 우리나라와 각 나라의 음악 교육과정 내 창작활동의 내용, 수준, 방법 등의 비교 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창작을 중심으로 2022 개정 음악 교육과정을 조명함으로써 향후 학교 현장에서 창작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창작 관련 후속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dramatically influences the direction of class and research. One of the significant changes i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in 2022 is that "creating" is introduced as an independent are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creative content of the Korean music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ion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reative content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he music curriculum in foreign countries. This study reviewed the social background of each revision, from the first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22, and also examined and analyzed the creative content introduced in each revisio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in 2022 was then compared with the music curricula in foreign countries (Germany, the United States, Singapore, and Canada), focusing on creative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of the changes in the music curriculum content showed that creative activity was introduced first by concentrating on important points, then in the form of achievement standards. Moreover, regarding core capacity,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emphasized creativity and self-directed competencies in creative activities. The foreign music curricula were then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Korean curriculum in regard to their contents, levels, and methods of creative activitie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reative activities in schools in the future and serve as a foundation for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creative activities by spotlighting the specification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of "creating" as an independent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