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해양지역은 예로부터 해상활동 및 교류, 해양영토 수호의 중심지로서 해양 역사상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곳이어서 많은 해양역사문화관광자원과 해양역사문화의 원형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을 풍부하게 지니고 있는데도 그동안 해양에 대한 인식과 관심 부족으로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이 제대로 보존되고 활용되지 못했다. 특히, 해양문화자원은 해양문화를 구성하는 유ㆍ무형의 요소이자 보존, 발굴, 활용의 차원에서 문화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해양문화자원은 그 의미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주목받지 못했으며, 정책적 측면에서도 해양문화자원의 콘텐츠화를 통한 대중화나 관광 자원화를 위한 정책 사업의 추진은 미흡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을 문화콘텐츠화 하여 활용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 등을 통해 통찰력을 발휘하여 실제 현장에서 문화콘텐츠로 개발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첫째,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을 영상콘텐츠, 웹콘텐츠화 등의 디지털 콘텐츠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을 중심으로 한 지역문화 축제를 개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을 주제로 한 전시박람회 등의 MICE 개최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 중심지역을 테마파크화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풍부한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을 문화콘텐츠화 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이유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해양관광 산업과 해양 K-Culture의 접목 관점에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그동안 육지의 유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면받아왔던 해양 권역의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을 ‘해양 K-Culture’로 활용하는 전략과 정책 입안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것은 첫째, 관광 산업을 통한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의 문화콘텐츠 향유 확대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 관련 문화콘텐츠의 창조적 활용과 관광 상품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셋째, 해양 K-Culture를 활용한 관광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넷째, K-콘텐츠와 연계한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 브랜드 구축 및 디지털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Korea's maritime history and cultural tourism heritage by turning it into cultural content. To this end, a plan to develop and utilize cultural content in the field was suggested by demonstrating insigh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First, transferring the analog evidence of maritime history and cultural tourism heritage into digital content such as video was proposed. Second, developing a local cultural festival centered on maritime history, culture and tourism heritage was also suggested. Third, plans for holding MICE, such as exhibitions and fairs under maritime history, culture, and tourism heritage, were presented. Fourth, turning the central area of maritime history, culture and tourism heritage into a theme park was proposed.
The reasons for presenting a plan to utilize Korea's rich maritime history and cultural tourism heritage as cultural contents are as follows. This is because various approaches are need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bining the marine tourism industry,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nd marine K-Culture.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suggest a strategy and policy direction for utilizing the maritime history, cultural and tourism heritage of the marine region, which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compared to land heritage, as 'Maritime K-Culture'.
First, it is to present a plan to expand the enjoyment of cultural contents of maritime history and cultural tourism heritage through the tourism industry. Also, it suggested to create uti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related to maritime history, culture, tourism heritage, and derivation of tourism commercialization plans. In addition, it is to present a plan for a high-value-added tourism industry using maritime K-Culture. Lastly, we would like to present a plan to build a maritime history, culture, and tourism heritage brand in connection with K-content via digital marke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