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미국 우주법상 민간우주활동에 관한 규제 거버넌스 연구
A Study on the Regulatory Governance about Private Space Activities under the U.S. Space Law
유인호 ( Yoo In-ho )
UCI I410-ECN-151-24-02-088850171

우주활동(space activity)의 중심이 국가에서 민간으로 재편되는 뉴스페이스(New Space) 시대에 있어서는 민간기업의 창의력과 혁신을 바탕으로 우주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가 민간과 정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시장중심의 분권형 우주활동의 모델이 대두되고 있다. 이 경우 다양한 형태의 민간기업의 수익모델을 국가안보에 부합되도록 시장을 형성하고 규제정책을 펼치기 위해서는 우주에 관한 조약들을 단순히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규제정책의 방향과 형식, 규제기관의 권한배분과 예산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규제행정법적 방법론이 필요하다. 미국의 민간우주활동에 관한 규제 거버넌스를 살펴보면, 우주조약 등 국제우주법과는 큰 상관없이 미국의 국익을 우선하기 위한 방향으로 ⅰ) 연방헌법에 기초한 ⅱ) 의회의 제정법(statutes)과 예산승인(authorization), ⅲ) 대통령의 행정 명령(executive order) 및 각종의 우주정책(policies)과 지침들(directives), ⅳ) 그에 따른 연방기관의 규정(regulations)과 규제권한(licensing)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민간우주활동을 우주산업으로 장려하기 위하여 경제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되, 정부의 후견적 규제역할을 위하여 연방기관의 역할과 권한을 배분하였음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발전에 필요한 우주법학(宇宙法學)의 방향은 비교공법적 방법론으로 미국 연방우주법을 연구하고, 새롭게 조성되는 우주규제의 거버넌스에 있어 법경제학적 방법론(규제이론)에 입각하여 규제의 형성과 집행에 있어 이해관계를 적절하게 조율하는 절차주의적 방법론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In the era of New Space, where space activity is reorganized from state to private, a market-based decentralized space activity model based on creativity and innovation of private companies is emerging that can create various added values by allowing various space products and services to be supplied to the private and government. In this case, in order to form a market and implement regulatory policies to meet national security of various types of private companies, a regulatory administrative methodology that comprehensively understands the direction and form of regulatory policies, regulatory agencies, and budget policies is needed. According to U.S. regulatory governance on private space activities, ⅱ) Congressional statutes and budget authorization, ⅲ) President’s executive orders, policies and directives, ⅳ) Federal agencies’ regulations and power of licensing ⅰ) under the U.S. constitution, regardless of international space laws(Outer Space Treaty, etc). In order to encourage private space activities as a space industry, economic feasibility and efficiency were pursued, but the roles and powers of federal agencies were allocated for the government's guardianship regulatory role. The direction of space law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pace industry should be to study U.S. federal space law as a comparative methodology and to reflect procedural methodologies that properly coordinate interests in the formation and enforcement of regulations based on the newly created space regulation governance.

Ⅰ. 서론
Ⅱ. 미국 연방우주법의 체계
Ⅲ. 민간우주활동에 관한 미국의 규제 거버넌스
Ⅳ. 결론 및 시사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