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중국 지방정부 공공데이터 자산의 상업적 가치평가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usiness value assessment of local government open data assets in China based on AHP technique
윤가명 ( Jiaming Yin ) , 심재연 ( Jae-yeon Sim )
산업진흥연구 8권 3호 201-210(10pages)
UCI I410-ECN-151-24-02-088848742

본 연구는 데이터 생태학 이론에 기초하여 중국 지방자치단체의 공개 공공 데이터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데이터 자산가치 평가방법을 데이터 비즈니스 운영의 새로운 관점에서 비교하였다. 계층적 분석방법(AHP)을 사용한 평가 모형을 이용한 연구결과는 전통적인 비용, 수익 및 시장 방법보다 정부 개방형데이터 자산의 상업적 가치를 더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었으며, 데이터 가치지수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지역 데이터 가치에 대한 종합적인 검색결과를 더 잘 반영되고 있었다. 자료를 보면 지방정부의 데이터 가치평가지수는 지역의 디지털 경제발전지수에 비례하여 디지털 경제에 대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데이터 가치를 이해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로 인하여 데이터 혁신 및 데이터 비즈니스 운영모델구축을 촉진하고, 사회복지를 개선하며, 데이터 실현을 위해 디지털 경제의 빠른 발전을 촉진하는 연구 및 실천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data ecology theory and takes Chinese local governments' open public data as the research object. Data asset value assessment methods are compared from a new perspective of data business opera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assessment model constructed using the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AHP) can more objectively reflect the commercial value of government open data assets than the traditional cost, revenue and market methods, has the advantage of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data value index, and better reflects the findings of a comprehensive index of regional data value. The data show that the local government data value assessment index is positively proportional to the region's digital economy development index, highlighting the driving effect on the digital economy.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a good help for the identification of local government data value rights.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data innovation and data business operation models, improving social well-being and promoting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digital economy to achieve data realisation provides a good reference.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Research Methods
4. Results
5. Conclusion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