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6
18.97.14.86
close menu
Accredited
영유아교사 조직문화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보호 요인을 중심으로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as factors protect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early childhood educators
김시영 ( Kim Si-yeong ) , 윤재희 ( Yoon Jae-hui )
UCI I410-ECN-151-24-02-088837043

이 연구는 영유아교사 조직문화 보호 요인과 조직문화와의 관계 정도를 효과크기로 메타분석하여 조직문화를 보호하는 효과적인 요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2022년까지 출간된 연구 중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39개의 연구를 선정하고, 해당 데이터 82개를 탐색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유아교사 조직문화 보호 요인으로 다뤄진 개별 변인들의 평균 효과크기는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였다. 둘째, 영유아교사 조직문화 보호 요인 중 개인적 요인보다 사회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변인군 별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요인에서는 관계, 기관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요인에서는 직무-태도, 직무-능력, 개인-심리 순으로 나타났다. 변인별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개인적 요인에서는 직무만족이, 사회적 요인에서는 원장 리더십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셋째, 교사 근무 기관 유형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교사 조직문화를 보호하는 데에 효과적인 요인을 밝히고, 관련 요인을 촉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meta-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at protec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 total of 39 relevant studies published until 2022 were selected, and their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 variables examined as factors protect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wed a generally high level of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social factors demonstrated a relatively larger effect size as factors protect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compared to personal factors. Among groups of variables, the effect size was highest for relational factors in social factors, followed by institutional factors. For personal factors, the effect size was highest for job attitude, followed by job ability and individual psychology. Among the individual variables, job satisfaction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while among the social factors, principal leadership had the highest effect size. Third, in order to identify the causes of high heterogeneity observed in the analysis results,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where teachers work was set as a moderating variabl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