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68
18.97.9.168
close menu
Accredited
전국 광역시 행정구역 명칭 고찰
A Study o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of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박덕유 ( Park Deok-yu )
지명학 vol. 31 5-33(29pages)
UCI I410-ECN-151-24-02-088830802

대한민국 6개 광역시의 행정구역은 총 44개 구(區), 683개 동(洞)이다. 이 중 중복된 구명(區名)은 24개(54.6%)이고, 중복된 동명(洞名)은 291개(42.6%)이다. 중복된 구(區) 명칭의 대부분은 방위명칭으로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울산시(100%)이며, 다음으로 광주시(80%), 대구시(71.4%), 대전시(60%) 등이다. 부산시(33.3%)와 인천시(37.5%)는 비교적 낮은 편이다. 중복된 동(洞) 명칭은 ‘고유명+숫자’ 형으로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인천시(53%)이며, 다음으로 부산시(50.8%), 대구시(48.5%) 순이다. 대전시(20.3%), 울산시(27.3%), 광주시(28.4%)는 비교적 낮은 편이다. 지명은 그 지역의 언어문화 및 생활문화의 유산이다. 그러므로 획일적으로 사용된 구(區) 방위명칭과 고유명 형태에 숫자를 결합한 중복된 동(洞) 명칭은 행정편의주의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지역의 역사적 전통성이나 향토성을 담은 고유의 이름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더욱이 21세기를 맞아 자치구 자체 브랜드화를 추진하고 있는 시점에 지역의 역사·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고유 기능을 회복하도록 명칭 개정 운동을 펼쳐야 한다.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ix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consist of 44gu and 683dong. Of these, 24gu names overlap (54.6%), and 291dong names overlap(42.6%). Most of the overlapping gu names are based on directional names. The city that has the highest rate of overlapping gu names is Ulsan (100%), followed by Gwangju(80%), Daegu(71.4%), and Daejeon (60%). Busan(33.3%) and Incheon(37.5%) have relatively low rate of overlapping gu names. Overlapping dong names are typically composed of ‘proper name plus number.’ The city that has the highest rate of overlapping dong names is Incheon(53%), followed by Busan(50.8%) and Daegu(48.5%). Daejeon(20.3%), Ulsan(27.3%) and Gwangju(28.4%) have relatively low rate of overlapping dong names. The name of a place is a cultural heritage reflecting the language and lifestyle of the place. Gu names uniformly assigned based on directional names and overlapping dong names composed of proper names combined with a number originated from administrative opportunism. Therefore, they need to be replaced with unique names that contain the local historical traditions and features. Moreover, in the 21st century when autonomous districts are respectively working on self-branding, it is necessary to run a name revision campaign to ensure that place names restore their unique function of reflecting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1. 서론
2. 광역시 행정구역 구(區) 명칭 현황
3. 광역시 행정구역 동(洞) 명칭 현황
4. 행정구역 명칭 개정 고찰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