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어의 형태는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눌 수 있다. 복합어로서의 지명어는 단어 형성 기제와 결과로서의 의미 합성성 여부를 연구하는데 의미있는 자료가 아닐 수 없다. 일반 언어학적 관점에서 복합어의 형성 기제는 크게 유추와 규칙으로 이분되고, 형성 결과로서의 의미합성성 여부가 관심의 대상이다. 이런 의미에서 복합어로서의 지명어는 일반 언어학의 단어 형성 이론을 뒷받침하는 훌륭한 자료가 되는 것이다.
특히 지명어가 통사적 구성을 보일 때, 전부 지명소는 명사, 부사, 관형사 어근의 모습을 띠거나, 용언의 활용형은 물론이고 종결형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지명어의 구조가 단순히 형태적 구성만이 아니라 통사적 구성에까지 이르고 있으므로 형성 기제를 어떻게 봐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 결과 형태론적 구성의 지명어의 형성 기제는 유추에 기반함을 가정한다고 할지라도 규칙의 존재를 인정할 수밖에 없으므로, 규칙과 유추는 주요한 형성 기제라고 할 수 있다. 지명어의 형성 기제 역시 일반적인 단어 형성에서와 마찬가지로 규칙과 유추 모두를 상정해야 한다.
통사론적 지명어의 형성기제는 재분석을 거친 규약화이다. 왜냐하면 이들은 통사론적 변형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형태론적 단어 형성범주로 다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의미 합성성의 원리와도 거리가 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vice of word formation and to explore the compositionality of place names. Analogy is the useful device of word formation. But all words are not formed by analogy, the word formation rule and analogy are the main devices of word formation.
And how list some syntactic structures which acts like a word at lexicon is also investigated. This study propose to divided the types of commercial word as a morphological word and a syntactic word. The morphological word is composed of a simple word and a complex word. The syntactic word is some syntactic structures which is used as a place n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