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중국의 녹색채권 발행 연구
A Study on China's Green Bond Issuance
김혜진 ( Kim Hyejin )
국제지역연구 27권 3호 95-115(21pages)
DOI 10.18327/jias.2023.7.27.3.95
UCI I410-ECN-151-24-02-08882748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2021년 전 세계 녹색채권 발행량은 5,00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중국의 발행량은 682억 달러로 미국의 835억 달러에 이어 2위를 차지하였다. 중국은 2020년 “두 개의 탄소(2030년 탄소피크, 206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한 바로 다음 해인 2021년에 녹색채권 발행량이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증가폭으로 따지면 세계 최대를 기록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 녹색채권 발행 급증의 몇 가지 원인을 도출하였는데, 첫째, 녹색채권 발행이 정부가 주도하는 수직적인(Top-down)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 둘째, 국유기업이 녹색채권 발행을 통해 국가 시책에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있다는 것, 셋째, 중국 특유의 “시험구” 조성 및 이를 통한 집중 추진 방식이 적용되었다는 것, 넷째, 선전시(深圳市)와 같은 일부 지방정부가 녹색금융 중심을 목표로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나아가 중국의 녹색채권 발행에 있어서의 몇 가지 문제점 역시 도출하였는데, 첫째, 그린워싱(greenwashing, 실제로는 친환경적이지 않지만 마치 친환경적인 것처럼 위장하는 행위)에 대한 우려가 크다는 것, 둘째, 녹색채권 발행 및 관리 방식이 일관적이지 않으며 일면 상당히 느슨하다는 것, 셋째, 녹색채권 발행의 실질적인 환경개선 효과가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이 발행한 녹색채권의 대다수(90%)가 기한이 5년 이내인 단기 채권으로 앞으로 속속 만기가 도래할 예정이며, 완전한 정보가 공개된 이후에야 비로소 중국의 녹색채권 발행 성과에 대한 보다 비판적인 검토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In 2021, green bond issuance worldwide exceeded U$500 billion, and China's issuance was U$68.2 billion taking the second place next to the United States of which the issuance was U$83.5 billion. In 2021, the year immediately after China declared its “two carbon targets (2030 carbon peak, 2060 carbon neutrality)” in 2020, green bond issuance nearly doubl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recording the world's largest increase. This study derived several reasons for the rapid increase in China’s green bond issuance. First, green bond issuance is being conducted in a top-down way led by the government. Second, state-owned enterprises are actively responding to state polices through green bond issuance. Third, China's unique “test zone” creation and intensive promotion method through the foregoing were applied. Fourth, some local governments, such as Shenzhen, are moving swiftly aiming at becoming the center of on green finance. This study further drew several issues in China's green bond issuance. First, there is a great concern about greenwashing (acts of disguising something as being eco-friendly although it is not actually eco-friendly). Second, methods of green bond issuance and management are not consistent. Third,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effect of green bond issuance is unclear. However, the vast majority (90%) of the green bonds issued by China are short-term bonds with maturities within five years so that the maturities will come soon one after another and it is expected that critical reviews for the outcome of China’s green bond issuance will become possible only after the full information is disclosed.

Ⅰ. 서론
Ⅱ. 글로벌 녹색채권 발행 현황 및 관련 표준
Ⅲ. 중국의 녹색채권 발행 현황 및 관련 표준
Ⅳ. 중국 녹색채권 발행의 특징 및 문제점
Ⅴ.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