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68
18.97.9.168
close menu
Accredited
評批本 『古詩批評』과 『西廂記』의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Kosi Bipyung(古詩批評)』 in the 19th century
정우봉 ( Chung Woo-bong )
UCI I410-ECN-151-24-02-088827172

이 논문은 최근에 새로 발굴, 소개된 評批本 『古詩批評』을 주텍스트로 하여, 『古詩批評』의 이론적 성과와 그 의의를 김성탄 평비본 『西廂記』와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19세기 전반기 문학사와 비평사의 이해를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古詩批評』은 19세기 때 나비 그림으로 유명한 화가인 南啓宇(1811-1888)의 저술로서, 중국의 대표적인 서사한시인 『孔雀東南飛』에 評批를 단 評點書이다. 評點은 원문 텍스트와 실제 비평이 결합 되는 독특한 형태의 비평 방식의 하나이다. 評點 批評에 대한 연구는 19세기 소설평비본 『水山廣漢樓記』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지 만, 그동안 자료의 한계로 인하여 비평사, 이론사의 연구 영역에서 제대로 조명되어 오지 못하였다. 근래에 들어와 『乾川稿』, 『古文百選』, 『霅橋藝學錄』, 『古詩批評』 등의 평비본 저술들이 소개되기 시작하면서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19세기 전반에 저술된 『고시비평』을 대상으로 하여, 김성탄 평비본과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검토를 통해 『고시비평』이 지닌 문학사적, 비평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評點 비평은 작품 텍스트 자체에 밀착하여 독자의 감상과 평가를 전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제 작품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조선 후기에 널리 읽혔던 評點書인 『唐宋八大家文抄』나 『古文百選』 등이 작품 텍스트 뒤에 평을 모두 붙이고 있는 바, 이들 評들은 실제 작품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있다. 『고시비평』은 중국의 대표적인 서사한시인 『孔雀東南飛』에 평을 단 것으로, 字句 운용에서부터 篇章 구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면에서 구사되고 있는 문장 수법들을 구체적으로 분석,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評들은 짧은 형식의 한시 보다도 한문 산문의 분석에 적극적으로 원용될 수 있는 것들이다. 현단계 한문학 연구에 있어 필요한 작업 중의 하나는 실제 작품을 분석, 감상하는 기준과 방법을 새롭게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古詩批評』에 구사되어 있는 문장 표현 방법 등과 관련된 이론적 성과를 검토하는 작업은 작품 분석의 방법론 모색에도 적지 않은 도움을 주리라고 기대한다. 조선 후기, 특히 18세기 후반 이후 평점비평사의 전개에 있어 김성탄 評批本의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는데, 『古詩批評』과 김성탄 評批本 『西廂記』의 상호 비교 연구는 이 시기 문인지식인들의 明淸 서적의 열람 및 독서 경험에 대한 구명, 「西廂記序文」 및 「西廂記讀法」이 미친 문체론적, 문장학적, 정신사적 측면에서의 영향 관계 구명 등이 앞으로 면밀하게 밝혀져야 할 과제이다. 여기서 문체론적 측면은 「서상기서문」 특유의 문체와 어조 그리고 형식과 관련되며, 문장학적 측면은 각종 문장 기법 등의 수용과 변용을 가리키며, 정신사적 측면은 인생과 문학 예술에 대한 기본적 태도와 연관된다. 이들 각 층위에서의 주요 논점들을 밝히는 것이 당면 과제라고 할 수 있는 바, 우리는 『고시비평』과 김성탄 평비본 『서상기』을 비교함에 있어서 그 체제, 구성상의 외형적 유사점을 지적하는 것을 넘어서서, 비평의식, 인생관, 문장기법 용어의 유사점과 차이점 등을 상호 대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1. Introduction
2. Nam Gye-woo's point of view appeared on the commentary version of 『Kosi Bipyung』
3. The literate view of 『Kosi Bipyung』 : Establishing the role of the reader
4. Conclus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