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Poly(urea-urethane) 자기복원 코팅층을 가진 도장 보호필름 물성 연구
Properties of Paint Protection Film Containing Poly(urea-urethane)-based Self-Recovery Coating Layer
송민석 ( Minseok Song )
UCI I410-ECN-151-24-02-088813945

최근 자기복원(self-recovery) 코팅층을 가진 자동차용 도장면 보호필름의 적용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ly(urea-urethane) hybrid 자기복원 코팅층을 가진 poly(vinyl chloride) 기재 보호필름에 대한 기본물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보고한다. Poly(urea-urethane) 기반 코팅층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화합물의 비율과 코팅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자기복원성능을 확인하였으며, 색차 값 측정을 통해 내오염성능을 정량화 하였다. 또한, 소수성 첨가제로 외부 오염에 대한 표면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량의 실리콘계 반응형 첨가제를 코팅 조성물에 함량에 따른 easy-cleaning 효과와 접촉각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poly(urea-urethane) 자기복원 코팅층을 가진 보호필름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변색 및 변형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촉진 내후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Recently, the application of paint protection films (PPFs) for automobiles having a self-recovery coating layer has been grown up. In this study, we report the evaluation results on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of a poly(vinyl chloride)- based PPF containing poly(urea-urethane) hybrid self-recovery coating layer. Depending on the main chemical composition and the thickness of poly(urea-urethane)-based coating layer for PPF, the self-recovery performance by an optical microscope and the stain resistance through color difference value are measured. To improve the surface properties and show its easy-cleaning effect against the polluted things, silicone-modified polyacrylate is introduced to the self-recovery coating composition. The contact angle of water on the coated surface is confirmed to show its hydrophobic surface. Finally, accelerated weathering test of paint protection film with poly(urea-urethane) hybrid coating layer is performed to check the possibility of discoloration and deformation due to long-term exposure on harsh condition.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