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조선후기 국왕 국장에 弔問 온 청 사신의 설행 의례와 의례 공간
Qing Emissaries who came to Joseon to pay condolence for the death of the Joseon K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s latter half period - Protocols observed, and places for those protocols -
李賢珍 ( Lee Hyun-jin )
진단학회 2023.06
진단학보 140권 97-129(33pages)
UCI I410-ECN-151-24-02-088813703

본고는 조선의 국왕 국장에 청에서 조문 온 사신이 행한 의례와 그 의례를 설행한 공간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조선의 국왕이 세상을 떠나면 중국 조정에 죽음을 알리는 사신을 파견했다. 국왕 국장에서 명과 청 조정에 보내는 사신은 고부청시청승습사 혹은 고부사였다. 왕후 국장은 명 조정에는 부음을 알리는 사신이 파견되지 않았고 청 조정에 파견한 사신은 고부사라고만 일컬었다. 고부청시청승습사 혹은 고부사는 국장이 발생한 지 6일째되는 성복하는 즈음에 차출되었다. 그리고 정사와 서장관 2원으로 구성한다는 『통문관지』의 규정과 달리 정사·부사ㆍ서장관 3원으로 구성했다. 3원으로 구성하는 동지사ㆍ사은사ㆍ주청사 등이 고부청시청승습의 임무를 겸한 것에 기인했다. 이 역시 국왕 국장에 해당하고 왕후 국장에는 고부사와 서장관 2원으로 구성되었다. 고부사가 북경에 도착하면 청 조정에서는 조선의 요청에 상응하는 조문 칙사를 보냈다. 조문 칙사는 조선에 와서 새로 즉위한 국왕인 권서국사자를 조선국왕으로 책봉하고, 죽은 왕을 위해 제사를 지내고 그에게 시호를 내리는 임무를 담당했다. 여기까지는 명 조정에서 조선의 국왕 국장에 파견했던 사신이 행한 것과 거의 달라진 점이 없다. 다만, 청 칙사들은 대개 만주인이었고, 이들이 머무는 객관은 태평관이 아닌 남별궁이었다. 그리고 청 사신은 명 사신에 비해 체류기간이 짧아 도성 밖에서의 유관은 시행하지 못했다. 청의 조문 칙사가 조선에 와서 행하는 의례는 『국조상례보편』과 『통문관지』에 수록된 의주가 참고된다. 전자는 「영사시제급조부의」, 「사부의」, 「사시의」, 「사제의」, 후자는 「교영의」, 「인정전접견의」, 「편전수칙의」, 「책봉의」, 「조제의」 등이다. 실제 조문 칙사는 모화관에서 창덕궁 인정전으로 와서 칙서와 고명, 부물을 전달하고 조선의 권서국사자를 국왕으로 책봉한 뒤 조제를 지냈다. 이는 『국조상례보편』에 있는 의주 중 「사부의」와 「사제의」를 제외한 두 의주는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통문관지』에 있는 의주가 대부분 실행되었음을 뜻한다. 그중 「책봉의」는 새로 마련한 의주로 청이 조선의 책봉국임을 드러내기 위한 의도, 의례적으로 강조하고자 한 의도가 내포된 것으로 보았다.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ritual protocols that were observed by official emissaries from the Qing(淸) dynasty, who came to Joseon to pay condolence for the death of Joseon kings. Cases analyzed here cover Qing envoys that visited Joseon since the death of King Injo(仁祖) through the death of King Cheoljong(哲宗). And the spaces they used to observe required protocols are examined here as well. Whenever a Joseon king is announced dead, the Joseon government would dispatch an envoy(Gobu-sa, 告訃使) to China to notify the Qing government of the king’s passing. Then the Qing court would reciprocate by sending an emissary to Joseon to pay proper condolence. Upon arrival, the Qing emissary woul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 deceased Joseon king, bestow a posthumous title(諡號) for him, and also invest a new king who would succeed the last one. In terms of protocol, there was nothing dramatically different from how things had been with the Ming dynasty emissari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however, with regard to certain issues. While the Ming emissaries would observe protocols at the Geunjeong-jeon(勤政殿) Hall at the Gyeongbok-gung(景福宮) palace, the Qing emissaries did so at the Injeong-jeon(仁政殿) Hall of the Changdeok-gung(昌德宮) palace. The residence for the Ming and Qing envoys were also different, as the former stayed at Taepyeong-gwan(太平館) while the latter resided at Nambyeol-gung(南別宮). Another thing to note: While the Qing envoy did not stay long in Joseon and returned to Qing as soon as their mission was completed, the Ming envoys would go on traveling or sightseeing to famous locations such as Mt. Geumgang or the Han river.

Ⅰ. 머리말
Ⅱ. 인조∼철종 국장과 告訃使의 차출, 청의 弔問 사신
Ⅲ. 청사의 설행 의례와 의례 공간
Ⅳ.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