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형계담연의 성구설을 진여수연과 관련해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그의 성구설이 천태지의 불교사상의 계승임을 밝힌 것이다. 담연은 성구설의 심성과 관련해서 진여수연 개념을 수용한다. 이를 두고 그의 성구설은 화엄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하는 것으로 지의의 제법실상으로부터 일탈이라고 평가하는 이들이 있다.
이러한 평가에 대해 본고는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성구설의 의미를 분석했다. 먼저 성구설에서 심성의 의미이다. 담연은 진여수연을 제법실상을 설명하는 두 가지 관점으로 이해한다는 것과, 성구설은 일체법을 갖추는 한순간의 마음[一念心]과 현상의 모든 존재[諸法]가 모두 조건에 의존해서 일어나 그 본성에서 다르지 않다고 주장하는 이론임을 밝혔다. 다음은 성구설에서 “구”의 의미이다. 성구설의 “구”는 중생과 부처의 불이상즉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성구설은 천태지의의 원돈지관을 계승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담연의 성구설은 지의의 제법실상의 계승임을 논증했다.
This article is an inquiry into the theory of Xingju (性具說) of Zhan-ran in relation to the Thusness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He claims Xingju as the ultimate principle in the Tiantai Buddhism. He accepts the Thusness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 a term originally from Huayan Buddhism - in the process of defining of Xingju. Based on this, some scholars have evaluated that Xignju deviates from the thought of Zhiyi.
In regard to these claims,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two parts to analyze the meaning of Xingju. The first is the meaning of Mind/Nature (心性), the other is the meaning of ‘embrace (具)’. Part one revealed that Zhan-ran accepted the Thusness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as two viewpoints that explain the Truth (諸法實相). The theory of Xignju means that the single moment mind that embraces All dharmas and All dharmas which are not dual in that their Nature are all emptiness (空, 眞如).
Part two revealed that ‘embrace(具)’ means the nonduality that negates the duality of lust and wisdom, sentient beings and the Buddha. Through the above discussions, this article demonstrated that Zhan-ran established the theory of Xingju as the ultimate principle of Tiantai Buddhism opposing Huayan Buddhism through the creative adaptation of Thusness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