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5
18.97.9.175
close menu
Accredited
북한 중ㆍ장편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수령 없는 공동체’와 18-19세기 유토피아 사회주의
Leaderless Community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Literature and Utopian Socialism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서동수 ( Seo Dongsoo )
동화와 번역 vol. 45 61-90(30pages)
UCI I410-ECN-151-24-02-088800635

본고의 목적은 북한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수령 없는 공동체의 양상을 18-19세기 유토피아 사상가와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특히 18-19세기 유토피아 사상가인 생시몽, 푸리에, 모스의 이론들이 어떻게 북한이 욕망하는 유토피아의 구성원리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생시몽의 산업주의와의 비교이다. 생시몽이 산업주의는 생산자가 중심이 된세계로 비약적인 생산력과 과학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는 이상적인 세계다. 북한 과학환상문학 역시 과학자 중심의 세계이다. 이들은 과학기술에 기반한 비약적인 생산력을 통해 경제적으로 풍요한 세계를 묘사하고 있다. 둘째, 푸리에는 열정과 쾌락을 인간의 근본 원리로 보았다. 그는 열정의 조화와 적절한 분배를 통해 이상국가로 나아갈 수 있다고 보았다. 북한 과학환상문학 역시 과학자들의 끊임없는 열정을 강조한다. 열정과 쾌락의 조화를 위해 언제나 새것에 대한 강박증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유토피아의 불가능성을 보여주는 이유가 된다. 셋째, 마르셀 모스의 포틀래치와의 연관성이다. 포틀래치는 대가를 바라지 않는 나눔의 메커니즘이다. 포틀래치의 윤리성은 북한 과학환상문학에서 열정의 증여과 ‘량심’으로 나타난다. 조국을 위한 열정의 증여는 개별적 호의가 아니라 ‘량심’이라는 윤리적 사건의 교환이다.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세대를 초월하는 거대한 호혜의 공동체를 만들어 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less communities depicted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literature with 18-19th century utopian thinkers. In particular, the theories of Henri Saint-Simon, Charles Pourier, and Marcel Mauss are examined to understand how they function as principles of utopia desired by North Korea. Firstly, a comparison is made with Saint-Simon’s industrial socialism. Saint-simon envisioned an ideal world centered around producers, characterized by leaps in productivity and scientific management. Similarly,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literature portrays a world centered around scientists, depicting an economically prosperous society achieved through revolutionary advanc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Secondly, Charles Pourier regarded passion and pleasure a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humanity. He believed that through the harmony of passion and equitable distribution, an ideal nation could be achieved.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literature also emphasizes the relentless passion of scientists. In the pursuit of harmony between passion and pleasure, there is always an obsession with novelty, which becomes a reason for the impossibility of utopia. Thirdly, there is a connection to Marcel Mauss’ concept of potlatch. Potlatch is a mechanism of giving without expecting anything in return. The ethical aspect of potlatch is reflected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literature through the concept of ‘conscience,’ which represents the bestowal of passion for the sake of the homeland. It is not just individual favor but an ethical exchange of events. Through this, scientists create a transcendent, mutually beneficial community that spans generations.

Ⅰ. 들어가며
Ⅱ. 사회주의 유토피아의 외적 원리- 생시몽의 산업주의와 과학적 유토피아
Ⅲ. 사회주의 유토피아의 내적 동력1 - 푸리에의 정념이론과 과학적 열정
Ⅳ. 사회주의 유토피아의 내적 동력2 - 모스의 포틀래치와 ‘량심’의 유토피아
Ⅴ. 나오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