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안학교 내 무용수업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차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연구 대상은 대안학교에 재학중인 남자 23명 여자 11명 총 34명의 학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대안학교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과 올바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무용교육을 통한 경험과 참여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 수업 실시 전과 후에서 자기효능감의 과제조절 효능감은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무용 수업 실시 전과 후에서 심리적 행복감의 쾌락적 즐거움, 몰입감, 자아실현감, 자신감은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무용교육이 대안학교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과 올바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 that dance classes in alternative schools have on students’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happi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34 students, 23 males and 11 females, who were enrolled in alternative schools. For data process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ired-sample t-test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ask control efficacy of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dance clas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hedonic pleasure, immersion, self-realization, and confidence in psychological happiness before and after the dance class. Through this study, a plan for dance education to help alternative school students achieve emotional stability and correct social life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