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이 연구는 감각 추구 성향과 라이브 커머스 소비자의 충동 구매 간 연관성을 살펴보고 라이브 커머스 산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충동 구매 의도 척도 4항목과 감각 추구 성향 18항목으로 문항을 구성해 수도권 거주 청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하였다.
연구 내용: 스릴과 모험 추구, 권태민감성 추구, 경험 추구가 충동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감각 추구 성향 중 스릴·모험 추구, 권태민감성 추구 요소는 충동 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경험 추구 요인은 충동 구매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라이브 커머스 콘텐츠 제작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충동 구매의 여러 변수 중 감각 추구 성향만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향후 개인의 심리적 측면에서 다양한 변인을 고려해 라이브 커머스의 충동 구매 의도를 고찰하는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ensation-seeking propensity and impulsive buying intention of live commerce consumer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live commerce industr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young people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using a questionnaire with 4 items on the impulse buying intention scale and 18 items on the sensation-seeking.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rill and adventure seeking, boredom sensitivity-seeking, and experience seeking on impulse purchases. Thrill/Adventure-seeking and boredom/sensitivity- seeking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ulse buying, but experience seeking factors di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live commerce content production and be used for establishing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analyzed only the sensation-seeking propensity among the variables of impulse buying. It is hoped that a thorough study will be conduct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components of impulsive buying intentions in live comme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