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본 연구는 메를로-퐁띠의 『지각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중년 여성의 하타요가 수행변화과정을 통한 신체의 체험적 가치와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 방법: 질적 연구방법의 일환인 지오르지 연구방법과 클라이만의 체험적 묘사와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하타요가 수행경험에서 지각되는 현상학적인 표현들을 연구자 중심의 주관적 언어로 분류화·의미화 하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를 통한 하타요가 수행 체험변화과정을 정신적 변화, 육체적 변화, 호흡의 변화 등 세 가지 범주로 구체화하였다. 1) 정신적 변화: ① 마음의 안정, ② 스트레스 감소, ③ 자신감 상승 2) 육체적 변화: ① 체형의 변화, ② 체력의 증진, ③ 혈액순환 개선 3) 호흡의 변화: ① 호흡의 안정, ② 깊고 긴 호흡, ③ 정신과 육체의 합일 등이다.
결론 및 제언: 하타요가 수련경험은 수행의 의미와 삶에 대한 성찰의 과정으로 이해되어야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한 요가의 근본적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학문적 구도에 대한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rying to understand the experiential value of the body and the essence of experience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in Hatha Yoga practice of middle-aged women, focusing o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By applying the george research method, which is a part of her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Kleiman's experiential description and analysis method, the phenomenological expressions perceived in the experience of hatha yoga practice were classified and meaningfulized into a researcher-centered subjective language. Through her research, the process of change in Hatha Yoga performance experience was embodied in three categories: mental change, physical change, and change in breathing. 1) Mental change: ① Mental stability, ② Stress reduction, ③ Confidence increase 2) Physical change: ① Body shape change, ② Physical strength improvement, ③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3) Respiration change: ① Breathing stability, ② Deep and long Breathing, ③ the union of mind and body, etc. Hatha yoga training experience sh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introspection on the meaning of practice and life, and through this process, we propose a follow-up study on an academic structure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nature of yo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