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걱정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Worr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y
김서연 ( Seoyeon Kim ) , 이창현 ( Changhyun Lee )
인문사회 21 vol. 14 iss. 3 1035-1050(16pages)
DOI 10.22143/HSS21.14.3.72
UCI I410-ECN-151-24-02-088793028

연구 목적: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걱정에 미치는 효과는 잘 알려져 있으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어떠한 경로를 경유하여 걱정을 증가시키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걱정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의 순차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25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순차 이중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자비, 정서조절곤란 및 걱정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비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걱정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걱정의 증가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자비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을 순차적으로 경유할 가능성이 시사된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을 지닌 내담자가 걱정을 호소할 때, 자기자비 및 정서조절 능력 증진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worr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55 adults residing nationwide to verify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effec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compassion,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y, and worr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anxiety via benevol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y sequentially was significant. In the process wher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leads to an increase in worry,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a decrease in self-compassion and an increase in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