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1
18.97.14.81
close menu
Accredited
리빙디자인페어 전시의 미래 주거 디자인 연구 - 케빈 켈리의 미래 이론을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Future Housing Design of the Living Design Fair - Based on Kevin Kelly's theory of the future -
이희진 ( Lee Heejin ) , 윤재은 ( Yoon Jaeeun )
UCI I410-ECN-151-24-02-088784805

(연구배경 및 목적) 팬데믹 이후 일과 여가, 외부와 내부, 프라이빗함과 공유 등 다기능의 레이어드 홈 역할이 중요해졌다. 이제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현실을 확장해 가상 세계와 결합하는 시대가 왔다. 이에 물리적 환경과 가상 환경이 통합되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는 주거 공간이 필요하다. 주거 디자인은 새로운 시대의 흐름을 따라 디자인 적용 개념의 변화와 다양한 공간 구현 방법에 의해 주거에 대한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작품에서는 기술적 발전으로 물리적 환경과 가상 환경이 통합되는 미래 주거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한 미래 주거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매년 전국 1만여 명의 리빙라이프스타일 관련 종사자가 직접 참관하고 있는 리빙디자인페어의 디자이너 초이스 코너 전시 부스로 선정한다. 코엑스 전시컨벤션 3층 홀 C 구역으로 선정하며. 작품 대상의 공간적 범위는 9m X 9m X 3m로 한정한다. 작품 연구 방법은 미래 주거에 관한 이론적 고찰로 미래학자 케빈 켈리의 이론을 분석하고, 미래 주거와 관련된 가상 주거, 전시관의 사례 분석을 진행한다. 미래 주거에 대한 개념을 풀기 위한 홍보전시관의 프로세스 단계로써, 콘텐츠 구성 개요, 영상 시나리오, 집기 및 스타일링 구성 및 부스 디자인 제작 과정을 진행하며 미래 주거 체험관의 개념과 설계 방향성, 기대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물리적 공간과 가상의 공간은 더 이상 우리에게 다르게 인식되지 않는다. 공간의 용도, 기능의 경계는 사라졌다. 동시에 집은 우리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며 다양한 용도 및 형태를 수용할 수 있게 해준다. 집을 영상으로 투영하는 하나의 제품으로 재해석하여“집은 주거를 위한 제품”이라는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관람객들의 능동적인 전시 관람을 위해 집안의 다섯 가지 라이프스타일 테마를 화이트 큐브 방 안의 벽면에 영상으로 투사하여 누구나 공감할 수 있게 하였으며, 테마가 바뀔 때마다 스토리에 걸맞은 향기, 조명, 음악과 영상이 함께 어우러지며, 몰입도를 강화하였다. (결론) 집을 영상으로 재생하는 아트월로 재해석하여 화이트 공간을 미래 주거의 감성적 가치의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맞춤형 영상 디자인으로 구현함으로써 관람객들의 미래 주거에 대한 메시지 전달력을 증가시켰다. 이는 미래 주거의 IOT 기기를 활용한 감성적 표현을 간략하게 체험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집은 주거를 위한 제품으로 해석하여 다양한 용도 및 형태를 수용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주거의 특성을 표현하기 위한 공간 연출을 스토리텔링을 통해 관람객의 공감과 소통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기술적 발전과 디자인적 창의성이 결합되어 영상으로 새로운 미래 주거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지침으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작품은 물리적 환경과 가상 환경이 통합되는 미래 주거 공간을 위한 자료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After the pandemic, home lifestyles have become more layered. We are seeking ways to expand reality, such as combining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and bringing it into the entire virtual worl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idential spaces to reflect the changes that bring us to a new lifestyle in which physical and virtual environments are integrated. These methods present atypical, unrealistic, and variable formats in physical environments. (Method) Selected as the Designer’s choice of the Seoul Living Design Fair 2023, 10,000 people visit lifestyle fields across the country every year. A corner exhibition booth in the Convention 3rd floor Hall C area at the COEX Exhibition was selected. The spatial boundaries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limited to 9m X 9m X 3m. The research method analyzes futurist Kevin Kelly's theory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future housing and examines cases of virtual housing and exhibition halls that are related to the subject. As a processing step for the PR exhibition hall to present a solution for future housing, we plan to demonstrate the concept and design directions. (Results) Physical and virtual worlds were no longer perceived differently. The use of space and boundaries between functions has disappeared. Simultaneously, the house offers new experiences that allow us to accommodate a variety of functions and forms.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a house as a product that presents it as an image and approach it from the perspective of “a house is a product for housing.” For the active viewing experience of the exhibition, five lifestyle themes of the house were projected on the inside wall of the white cube room to evoke different feelings from visitors with scent, lighting, music, and videos―fully focusing on exploring methods to enhance immersive experiences. (Conclusion) By reinterpreting the house as an art wall, white space is implemented as a customized video design through the subdivision of various themes, there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presentation of future housing to the audien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visitors' immersion through space production using color-changing moods, sound effects, and scent sprays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al value of future housing. A house is interpreted as a living product. We hope that the combinat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design creativity can be used as another guideline to show the potential of future housing through video exper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a direction for collective data for future residential space research in which physical and virtual environments are integrated.

1. 디자인 배경
2. 전시공간의 방향성 분석
3. 전시 공간 디자인 개발
4. 공간별 세부계획 결과
5. 결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