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강원도 철원 샘통과 주변 지표수 및 지하수의 수리화학 및 미생물 군집 특성 연구
Hydrochemical and Microbial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Spring,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at Samtong in Cheorwon, South Korea
유한선 ( Han-sun Ryu ) , 문진아 ( Jinah Moon ) , 김희정 ( Heejung Kim )
지질공학 33권 2호 257-273(17pages)
UCI I410-ECN-151-24-02-088783666

본 연구에서는 철원 샘통과 그 일대의 지하수 및 지표수의 지구화학 및 미생물 군집 특성을 분석하였다. 2022년 12월 15일 철원 샘통 5개, 지하수 3개 그리고 지표수 2개, 총 10개 지점에서 야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화학분석 결과 샘통과 지표수는 모두 Ca-HCO3 유형에 도시되었으며, 지하수 한 지점(CSG3)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은 모두 Na-HCO3 유형에 도시되었다. 또한 모든 지점은 같은 기상수의 기원으로 물-암석 반응이 우세하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라돈 농도 분석 결과 지표수는 1,000 Bq/m3 이하, 샘통은 1,000~10,000 Bq/m3, 지하수는 1,000~1,000,000 Bq/m3의 농도 값을 보였다. 미생물 군집 구조 분석 결과 문(phylum) 비율 중 가장 우점종은 Proteobacteria, Planctomyceta, Verrucomicrobia, Acidobacteria, Actinomycetota 순으로 나타났다. 비계량적 다차원 척도법 모델링(NMDS)에서는 수온, pH, Si가 현장의 토착미생물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NMDS와 CCA 결과에서 샘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적 요소는 온도, Mg, Si로 나타나며, 그 환경적인 영향과 관련된 주요 미생물은 Acidobacteria와 Proteobacteria 중 Pseudomonas brenneri이다. 수화학 및 미생물 군집 분석 모두 샘통과 지하수 CSG3 지점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현무암 대수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ommunities of spring (Samtong),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in Cheorwon, Korea, were analyzed. Field surveys and water quality analyses were undertaken at 10 sampling points for five spring, two surface, and three groundwater samples on 15 December 2022. Hydr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most water samples were Ca-HCO3 type and that water-rock interactions were the predominant mineral source. Radon concentrations were <1 kBq m-3 for surface water, 1~10 kBq m-3 for spring water, and 1~1,000 kq m-3 for groundwater. Microbial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main phyla were Proteobacteria, Planctomyceta, Verrucomicrobia, Acidobacteria, and Actinomycetota.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analysis indicated that water temperature, pH, and Si content were closely related to microorganism content. NMDS an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spring water were temperature, and Mg and Si concentrations, particularly for Acidobacteria and Proteobacteria, and Pseudomonas brenneri. Both hydrochemical and microbial community analyses yielded similar results at some spring and groundwater sampling points, likely due to the effects of a basalt aquifer.

서론
연구지역 및 연구방법
결과 및 토의
결론
사사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