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트너십은 기후변화와 같은 불확실하고 복잡한 사회적 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책 추진 방식이다. 특히 보유자원의 규모가 서로 다른 분산된 의사결정 및 집행 구조 하에서 정부 부처 간의 동일한 정책대상에 대한 파트너십 전략은 정책의 충돌·중첩·사각지대 해결, 칸막이 행정 극복 및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정부 부처 간 물관리 파트너십 확보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상이변 등으로 인한 가뭄, 홍수, 태풍 등 물 재해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2022년 1월 물관리일원화 이후 여전히 업무가 중첩되어있는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행정안전부 간의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환경부를 중심으로 이들 정부 부처 간의 ‘물관리정책 행정협의회’를 설치하여 공동의 물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부처 간의 MOU를 체결하고, 핵심부처 및 기관 간의 실무협의회를 구성·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평가 및 인센티브 개선도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가뭄, 홍수, 태풍 등 수재해에 대한 ‘통합물관리 디지털 플랫폼(수재해 방지시스템)’을 구축·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질오염 방제시스템’을 활용하여 실시간 지역 현황 등의 정보공유 및 시설을 지원함으로써 수질오염 사고 방제를 위한 활성화가 요구된다. 끝으로, 중앙-지방자치단체 간의 파트너십을 위해 지역 또는 유역 단위별로 ‘물관리정책 지방행정협의회’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도 검토해 볼 만하다. 해외 선진국의 경우 용수공급을 지방자치단체에서 담당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