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9
18.97.14.89
close menu
Accredited
인공지능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의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공지능에 대한 신뢰와 프라이버시 염려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Effects on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AI-based voice assistant services: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trust in AI and privacy concerns
장창기 ( Jang Changki ) , 허덕원 ( Heo Deokwon ) , 성욱준 ( Sung Wookjoon )
UCI I410-ECN-151-24-02-088763093
* This article is free of use.

AI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에서는 서비스 이용 경험으로 인한 이용자의 신뢰 및 프라이버시 보호와 관련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AI에 대한 개인의 신뢰와 온라인 프라이버시 염려가 AI 기반 음성비서의 지속적인 사용에 미치는 영향, 특히 상호 작용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문항을 구성하고 응답자 40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공지능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와 개인정보보호 관심이 인공지능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 도입 및 지속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Heckman 선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인공지능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 이용행태는 기술수용 촉진요인인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편의성, 사회적 영향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둘째, 인공지능에 대한 신뢰는 인공지능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 이용행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지속 이용의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은 AI에 대한 신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적인 이용의도를 억제하는 효과(β=-0.153)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디지털 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거버넌스로서 기술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프라이버시에 대한 사용자의 우려를 완화할 수 있는 이용자 의견수렴과 조치를 통한 이용자 경험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수단으로서 인공지능 기반의 정책서비스를 도입할 때,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 범위를 공론화 과정을 통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프라이버시 문제가 사후적으로 추적 및 평가될 수 있는 제도의 마련과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고려한 알고리즘의 개발이 필요하다.

In research on the use of AI-based voice assistant services, problems related to the user’s trust and privacy protection arising from the experience of service use are constantly being rai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effects of individual trust in AI and online privacy concerns on the continued use of AI-based voice assistants, specifically the impact of their interaction. In this study, question items were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with an online survey conducted among 405 respondents. The effect of the user’s trust in AI and privacy concerns on the adop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AI-based voice assistant services was analyzed using the Heckman selection model. A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first, AI-based voice assistant service usage behavior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factors that promote technology acceptance, such a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social influence. Second, trust in AI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I-based voice assistant service usage behavior but had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Third, the privacy concern level was confirmed to have the effect of suppressing continuous use inten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rust in AI.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need to strengthen user experience through user opinion collection and action to improve trust in technology and alleviate users’ concerns about privacy as governance for realizing digital government. When introduc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olicy services, it is necessary to disclose transparently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rough a public deliberation process, and the development of a system that can track and evaluate privacy issues ex-post and an algorithm that considers privacy protection is required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함의
References
[부록]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