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114.66
13.59.114.66
close menu
KCI 등재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트럭>에 나타난 풍경과 세계
Landscape and World in Marguerite Duras’ Film The Truck
정락길 ( Lak-kil Chung )
미학예술학연구 69권 116-138(23pages)
DOI 10.17527/JASA.69.0.05
UCI I410-ECN-151-24-02-088753891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eva)를 중심으로 많은 비평가들은 마르그리트 뒤라스(Marguerite Duras)의 작품 세계를 우울의 세계에 존재하는 상실, 부재 그리고 불가능성의 문제들과 연관 지어 사유하여 왔다. 하지만 영화 <트럭>에는 우울의 상상계로 포착될 수 없는 세계에 대한 미묘한 탐색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 <트럭>이 우울의 병리로부터 이탈하는 어떤 세계의 발견을 보여주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영화 <트럭>에서 뒤라스는 독서의 공간인 검은 방이라는 실내 공간을 배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 문학과의 관계에서 이 검은 방의 의미를 검토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검은 방을 통해 이 영화의 미장아빔의 형식을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이야기꾼의 논의를 끌어들이면서, <트럭>의 공간이 목소리에 이끌려지는 구술적 전통의 세계 경험과 연관되어 있음을 살피고 있다. 하지만 <트럭>은 목소리와 이미지의 분리를 통해 부재의 감정을 부여하는 동시에 풍경을 통해 어떤 세계가 현상하고 있다. <트럭>에서의 풍경은 장 뤽 낭시(Jean-Luc Nancy)가 제안한 신적인 것의 퇴각으로서의 무신론의 풍경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카메라의 렌즈와 영화의 투사 과정은 작가라는 주체를 넘어서는 어떤 세계를 보여주는 존재론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바로 문학과 영화 사이에서 뒤라스의 예술 세계가 드러내는 어떤 세계의 전망을 스탠리 카벨(Stanley Cavell)과 장 뤽 낭시의 영화 존재론과 결합시켜 해석하고 뒤라스 영화에 나타난 풍경의 미학적 의미를 세계와의 연관성 하에서 검토하고 있다.

Many critics have associated Marguerite Duras’ artistic world with issues of loss, absence, and impossibility existing in the realm of melancholia. However, the film The Truck presents a subtle exploration of a world that cannot be captured in the realm of melancholic imagination. Drawing on Walter Benjamin’s thoughts on the storyteller, this study first explores how the space of The Truck is related to the oral tradition, which is led by the voice. This voice, in conjunction with the ontological ability of the camera, opens up to a world beyond the subjectivity of the author. The landscape in this film evokes a sense of absence through the separation of voice and image. This landscape is that of atheism as “a retreat of the divine” proposed by Jean-Luc Nancy. In conclusion, this world of The Truck , which has been worked on between literature and film, offers a landscape of atheism, and this landscape is connected to a certain world outlook. It can be called the openness of the world.

Ⅰ. 서론
Ⅱ. 검은 방의 이야기꾼
Ⅲ. 풍경과 세계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