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2
18.97.9.172
close menu
Accredited
조선 유학 중의 「인심도심도(人心道心圖)」 도상 분류와 철학적 사고
Philosophical Thoughts and Diagram Types of Ren Xin Dao Xin Diagram in Korean Confucianism
유등달 ( Yu Tengta )
퇴계학보 vol. 153 247-325(79pages)
DOI 10.46264/toegye.2023.153.07
UCI I410-ECN-151-24-02-088751468

‘人心道心說’은 유가의 ‘道統觀’에서 중요한 핵심적 사상이었다. 이설은 비록 조선 유학의 3대 논쟁 중에 으뜸가는 쟁점은 아니지만 유학사상사에서 언제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 이로 인해 지금까지 유학자들은 이 주제에 대해 많은 토론을 하였고 심지어 이 주제의 도상[人心道心圖]을 제작하여 개인의 관점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40여 점의「인심도심도」를 수집하여 귀납과 총결을 거쳤으며, 이 주제의 性理圖는 크게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눌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첫째는 도상의 출처인 중국 원나라의 유학자 王柏(호는 魯齋, 1197~1274)이 제작한 도형과 도설에 대해 수정하는 것, 즉 ‘微ㆍ危ㆍ正ㆍ私’ 등 글자의 위치 안배를 처리한 것이었다. 둘째는 李滉(호는 退溪, 1501~1570)과 그의 제자 趙穆(호는 月川, 1524~1606)이 표현했던 ‘一體中坼’의 방법(글을 둘로 해체하여 배치함)을 이어서 구도를 전개하는 것, 즉 ‘形氣ㆍ私ㆍ危ㆍ人’등의 글을 해체하여 ‘도심’의 중축선 양쪽에 배치한 것이었다. 셋째는 李珥(호는 栗谷, 1536~1583)가 朱熹(호는 晦翁, 1130~1200)의「誠幾圖」를 근본으로 삼아 따온 ‘直出橫生(직선과 사선)’의 도형 구조를 따라, ‘도심’은 천리의 근본이 곧바로 나온 착한 정이지만 ‘인심’은 곤경에 빠져 인욕이 되고 심지어 악이 되는 것은 뒤엉켜 자라나서 어긋난 사선 상태인 것을 표현한 것이었다. 이 세 가지 구도 유형에 대한 검토와 분석을 통해 조선 유학 중「인심도심도」의 기본적 도상의 관점을 대략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도형의 조정과 수정으로부터 그림을 그리는 사람의 독특한 사상적 관점도 볼 수 있고 또한 철학적 사고와 性理圖 제작의 훌륭한 상호작용도 구현할 수 있다.

The theory of Ren Xin Dao Xin is the crucial core of Confucian Orthodoxy. Korean Confucianists have discussed comprehensively on this issue and even draw their diagrams to express different views. In this essay, I will collect diagrams of Ren Xin Dao Xin and summarize as 3 main types. 1st: to revise the initial diagram by Chinese Cofucianist Wang bo. 2nd: to continue the method “Yi Ti Zhong Che” by Yi Hwang and his follower Zhao Mu. 3rd: to follow Yi I’s ”Zhi Chu Heng Sheng” structure which is based on Zhuzi’s “Diagram of Sincere Thoughts”. In addition, Yi I brought forward his thesis: “good and evil in human minds”. But this does not reflect his diagram and arouses discussions by later scholars. By studying the diagram types, we can see the consistency of those unique designs and arrangements and observe the brilliant connections between philosophical thoughts and drawing of Xing Li diagram. Thus, Korean Confucianists’ basic view of Ren Xin Dao Xin diagram can be analyzed.

1. 머리말
2. 원유 왕백의「인심도심도」에 대한 성찰과 수정
3. 퇴계의「人心道心圖」에 대한 사고와 연구 제작
4. ‘一體中坼 방법’의 구도 예시
5. 율곡의 ‘直出橫生’ 방법에 의한 「인심도심도」 제작
6. ‘直出橫生’ 방법의 구도 예시
7.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