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68
18.97.9.168
close menu
Accredited
공립형 대안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한 교사들의 이야기
The Story of Teachers who Developed the Public Alternative High School Curriculum in South Korea
김현진 ( Hyeonjin Kim ) , 조은진 ( Eunjin Jo ) , 김세영 ( Seyoung Kim )
DOI 10.15708/KSCS.41.2.4
UCI I410-ECN-151-24-02-088751100

본 연구는 공립 대안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한 두 교사의 자서전적 내러티브를 통해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행위와 그 결과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교사-연구자로서의 삶을 살고 있는 두 연구자는 교육과정에 소외된 학생이 있다는 문제를 인식함으로써 공립 대안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 경험에서 교사는 교육적 지향을 교육철학과 연결하고, 연구와 실행을 통해 교육철학을 교육과정으로 구체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그 결과로 교사는 ‘주체적 자기(Self)’를 중심으로 한 존재론적 교육과정을 생성하였으며, 이 교육과정은 교육 내용이 곧 계열로 연결되고, 교육 방법이 내용보다 표면화되며, 학생 삶의 주기를 반영한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두 연구자가 경험한 교육과정 개발은 교사에게는 특별한 경험으로 인식되어 이후 교육을 실천하는 교사의 삶에 유의미하게 기록되었고, 그 자체로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이 학생-교사-교과-환경을 교육철학을 통해 일체화하는 과정임을 보여주며 교사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curriculum development behavior and the curricula designed by teachers, using autobiographical narratives of two teachers in a public alternative school in South Korea. As teacher-researchers, the two participants developed a curriculum for the public alternative schools in response to the issue of student alienation from the existing curriculum. In this process, they created an ontological curriculum centered around the concept of the 'subjective self'. The curriculum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 consistency of content and sequence, a teaching method-oriented learning course, and a reflection of the students' life cycle. The curriculum development undertaken by the two researchers was recognized as a profound and transformative experience for teachers, with a lasting impact on both their professional and personal lives. It also demonstrated that teacher curriculum development is a process that integrates students, teachers, courses, and the environment through educational philosophy.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교육과정 개발 경험의 의미
Ⅴ. 결론
참 고 문 헌(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