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인 쇼는 한국독립운동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인물임에도 그의 생애와 활동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고는 1931년 만주침략 이후 1938년까지 일제가 어떻게 쇼를 탄압ㆍ축출하려고 공작했으며, 이에 맞서 쇼가 어떻게 대응했는가를 살펴보았다.
1931년 만주침략을 계기로 일제는 반일적인 쇼를 탄압하기 위해 이륭양행의 기선 神福號ㆍ神裕號 등을 불법으로 임검하고, 쇼와 그의 부인에게도 체포하겠다고 위협하면서 이륭양행이 대대적으로 밀수에 종사하고 있다는 등 중상도 서슴치 않았다. 이에 쇼는 직접 혹은 영국총영사ㆍ주일 영국대사관 등을 통해 일제 측에 강력하게 항의하였다. 일본외무성은 영국과의 마찰을 우려해서 단속을 자제해달라고 조선총독부에 요구했지만, 실질상 임검 자체를 반대하지 않았다. 조선총독부는 치안유지를 이유로 만주 측 관헌을 앞세워 공동 임검하는 편법으로 비난을 모면하고자 하였다.
한편 일제는 半官半民의 어용회사인 大安汽船公司 설립과 이륭양행 매수 공작을 통해 쇼를 안둥에서 축출하는 데 온힘을 기울였다. 국제법상 아무런 하자가 없는 쇼의 압록강 항로권을 무효화할 수 없다는 판단 아래, 대안기선공사에 상당한 보조금을 제공하여 이륭양행과 경쟁토록 했던 것이다. 대안기선공사는 쇼의 창고부두 바로 앞에 繫船場을 건설했는데, 일본영사조차 이를 졸렬한 쇼 ‘박멸’ 조치라고 여길 정도였다. 이에 쇼는 선박 구입ㆍ가격 인하ㆍ경품 제공 등으로 격렬하게 맞섰다. 일제는 대안기선공사의 결손을 보전해줌과 동시에 이륭양행의 매수를 추진하였다. 그 결과 쇼는 더 이상 손실을 감수하기 힘들었기 때문에, 1935년 2월 대안기선공사에 이륭양행의 선박과 압록강 항로권 등을 매도하고 말았다.
그 뒤 쇼는 안둥과 상하이 간의 운송업에 주력하면서 압록강의 화물운송업에도 새로 진출하였다. 그러나 일제는 쇼의 선박을 억류하는 등 그를 안둥에서 완전히 축출하기 위한 공작을 펼쳤다. 이로 말미암아 쇼는 막대한 타격을 입고 경영난에 봉착하였고, 결국 1938년 4월 안둥을 떠나 푸저우에 이륭양행의 본점을 설치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31여 년간 안둥에서 쇼가 일제의 온갖 탄압에 굴하지 않은 채 전개했던 한국독립운동 지원과 반일 활동도 중단되고 말았다.
The life and activities of a British man George L. Shaw are not well known in spite of his contribution to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how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maneuvered to oppress Shaw from 1931 to 1938 and how he resisted.
Taking the opportunity of the invasion of Manchuria in 1931, the imperial Japan illegally searched steamships of Yeeryungyanghaeng(Yilong Matheson), threatened to arrest Shaw and his wife(Saito Fumi), and slandered his company on smuggling for the purpose of oppressing Shaw who had anti-Japanese attitudes. Shaw made a strong protest to Japanese government through British Consul General and the British Embassy in Japan.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orrying about conflict with Great Britain, requested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en to be careful in its control measures but did not oppose the search itself. The latter institution tried to evade denunciation by conducting joint searches with Manchurian officials on the pretext of maintaining public order.
The imperial Japan made every efforts to expel Shaw from Andung by establishing Daan Steamship Co. Ltd., a semi-governmental company, and buying off Yeeryungyanghaeng. Recognizing that it was not possible to nullify Shaw’s shipping right to Yalu River line, Japanese government provided subsidy to Daan Steamship Company and made it compete with Shaw’s company. Daan Steamship Company constructed a moorage just in front of Shaw’s warehouse quay, which even the Japanese Consul regarded as a clumsy measure to break up Shaw. Shaw tried to resist these measures with the purchase of new ships, price reduction and giveaways, but finally sold the ships and the right to Yalu River line to Daan Steamship Company due to increasing losses in February 1935. The imperial Japan offered him compensation for the losses and purchased his company.
Thereafter Shaw devoted himself to shipping business between Andung and Shanghai and went into a new business at Yalu River line. But the imperial Japan maneuvered to expel Shaw from Andung by interning his ships. Suffering a heavy loss, Shaw left Andung and moved the main office of Yeeryungyanghaeng to Fuzhou in April 1938. This move led to the end of his support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anti-Japanese activities that had lasted for 31 years against all oppressions from the imperial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