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정기 문해ㆍ계몽운동은 문맹 대중에게 국문을 깨우치는 데만 목적이 있었던 순수한 의미의 운동이 아니었으며,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으로 긴밀하게 결부되어 있었다. 이 논문은 미군정기 우익정치세력과 우익학생단체의 문해ㆍ계몽운동을 살펴보고, 그 활동이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 과정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였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미군정-우익세력-우익학생단체는 긴밀한 연관관계를 형성해 나가면서 문해ㆍ계몽활동을 전개하였다. 미군정이 성인교육으로 운영한 공장학교는 공장노동자들을 전평세력으로부터 견인하여 반공이데올로기를 주입시키고 우익세력에 순치하도록 기능하였다. 재소자학교도 좌우대립이 낳은 산물로써 좌익 수감자를 순치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운영되었다. 미군정의 문해정책은 미국의 입지 강화, 미국식 교육의 한국 이식, 반공이데올로기 확산과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 구축을 위한 기반 형성이라는 미군정 정책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우익세력 특히 이승만ㆍ한민당세력은 정치적인 기반을 넓히고 다지기 위한 목적으로 문해ㆍ계몽활동에 우익학생단체를 행동전위대로 활용하였다. 우익세력의 문해ㆍ계몽운동은 1946년 5월 제1차 미소공위 휴회 이후 좌익과 대결하여 세력을 확장하고 반공의식을 주입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9월 총파업, 10월 항쟁 이후에는 좌익세력이 위축되고 세력이 약화되는 가운데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선거법 제정과 연계시켜 나갔다. 그리고 제2차 미소공위가 결렬되고 한국문제가 유엔으로 이관된 시기 이후에는 단독정부 수립을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선거계몽에 치중하여 활동을 벌여나갔다. 이러한 우익세력의 활동은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성사시키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enlightenment and literacy campaign by the right wing political force and right wing students’ organization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to understand how their activities worked on the foundation of separate government by South Korea only.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right wings, and right wing students’ organization developed the enlightenment and literacy campaign in close relationship.
The literacy campaign by the USAMGIK was carried out to fulfill policy goals; the USAMGIK intended to strengthen the U.S. position, transplant of the U.S. education, increase anti-communist ideology, establish capitalist market economy in South Korea.
The force of Syngman Rhee and Korean Democratic Party took advantage of the right wing students’ organization as the vanguard on the purpose of enlarging and strengthening their political base in the enlightenment and literacy campaign. They conducted those campaigns in earnest to increase their power against the left and to implant anti-communist ideology since the American-Soviet Joint Commission was suspended.
After the September general strike and October struggle in 1946, the left wing in South Korea shrank and its power became weak. The rightists’ connected activities with foundation of the election law for the South Korean Interim Legislature in this situation. They conducted the campaigns in a bid to establish the separate government, with emphasizing enlightenment for the election, since the second American-Soviet Joint Commission was failed and the Korean question was transferred to the U.N. by the U.S. The right wing’s works can be reviewed that they had an important role to achieve foundation of the separate government by South Korea on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