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0
18.97.9.170
close menu
Accredited
만주국의 조선인 학교 실태와 조선인의 민족적 위상
The Education and National Phase of Koreans in Manchukuo
윤휘탁 ( Yoon Hwy-tak )
UCI I410-ECN-151-24-02-088747535

만주국 시기 조선인 학교는 부족했기 때문에 조선인은 취학난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학교에서는 일본어로 가르치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인 학생들은 수업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일본인 학생은 대부분 사회적 평판과 학교 시설이 좋은 공립학교에 다니고 있었지만, 조선인학생 다수는 교육 시설이 열악한 직업학교나 사립학교에 다니고 있었다. 또한 의과대학 학생의 절대 다수는 일본인이었다. 교원들 중에는 일본인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일본인이 교장직을 독점한 채 다른 민족 출신의 교원들과 학생들을 감시하고 있었다. 당시 학교 부족으로 학교를 다니지 못해 학력이 낮았던 조선인들은 취직난에도 시달렸다. 만주국 식민당국에서는 표면적으로는 ‘民族協和’, ‘內鮮一體’, ‘日滿一德一心’을 부르짖으면서 민족 평등을 강조하고 있었지만, 교육 방면에서 조선인의 열악한 교육 환경을 개선시켜 주려는 노력은 기울이지 않은 채오히려 민족 차별 정책을 고착화하고 있었다. 만주국의 모든 방면에서도 그러했지만, 교육 방면에서도 다양한 離散 민족들이 확연한 민족적 위상과 차별 속에 階序的으로 민족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교육 방면에서의 민족 구성이나 민족 차별을 고려해본다면, 만주국의 ‘민족협화’, ‘내선일체’, ‘일만일덕일심’ 논리는 일본 식민주의자들만의 ‘植民地的 想像’ 속에 존재했던 허구적인 식민 통치 이데올로기에 불과했다고 할 수 있다.

There is very little Korean schools in Manchukuo. Therefore, Koreans in Manchuria were hard to enter school. Because this school taught in Japanese, Korean students had difficulty in learning process. Japanese students attended public schools that have a good learning environment. But most Korean students attended vocational school or a private school that have a bad learning environment. Social reputable medical students were mostly Japanese. Among the teachers Japanese occupied a large proportion. In addition, the Japanese had monopolized the principal of school. Japanese principal of school was monitoring the teachers and students of other nations. Because education of Koreans were low, they had difficulty in finding employment. Manchukuo colonial authorities had always argued the ethnic equality, but they were discriminating against Koreans in Manchuria. AS a result, in educational aspect of Manchukuo the national sequence was set. Finally, Manchukuo insisted ethnic equality and ethnic reconciliation, it was an ideological fiction that Manchukuo colonial authorities only had.

Ⅰ. 머리말
Ⅱ. 만주국의 조선인 학교 실태
Ⅲ. 교육 방면에서의 조선인의 민족적 위상
Ⅳ.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