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대조선국민군단의 조직과 활동 - 주도세력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Great Joseon National Corps - Centered on the Review of Leading Forces -
조규태 ( Cho Kyu-tae )
UCI I410-ECN-151-24-02-088746529

이 글은 1914년부터 1917년까지 하와이에서 조직되어 운영된 대조선국민군단의 창설 배경, 편제와 운영, 주도인물의 특성, 대조선국민군단의 약화와 해체 후의 주도인물의 활동과 동향에 대하여 검토한 글이다. 이 글을 완성하기 위해, 『신한국보』와 『국민보』, 박종수 일기, 일제의 정보문서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의 사실을 확인하였다. 첫째 대조선국민군단은 박용만의 주도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에서 대동공진단을 조직한 보황적 인물들의 주도로 만들어졌다. 둘째 대조선국민군단의 조직은 1913년 하와이준주 정부의 예비군인 양성 제안에 힘을 얻었다. 셋째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의 회장과 부회장과 임원들은 도급받은 농장의 屯田 제공, 의무금 증액을 통한 자금 지원, 대조선국민군단과 병학교 참여와 회원의 참여 독려 등으로 대조선국민군단의 창설과 발전에 기여하였다. 넷째 대조선국민군단의 주도인물들은 대동공진단을 조직한 하와이지방총회의 간부와 노백린 등 대한제국의 군인, 박용만 등 소년병학교의 운영자 등이었다. 다섯째 대조선국민군단의 해체와 노백린과 박용만 등은 중국의 만주와 관내, 연해주 등지에서 대조선국민군단을 조직하여 무장투쟁적 독립운동을 전개하려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첫째 미주지역 무장투쟁적 독립운동론 및 무장독립운동계 인물과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1915년 하와이에서 박용만과 이승만이 대립·쟁투하였던 배경을 밝힐 수 있다. 셋째 박용만이 북경의 독립운동가와 연계하여 이승만 및 대한민국임시정부를 공격하였던 배경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넷째 1910년대와 1920년대 초 국내와 중국·연해주·미주·일본 등 보황적 독립운동세력의 연계망을 밝히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article reviews the background of organization, structure, operation, the leading figures of the Great Joseon National Corps to be existent in Hawaii from 1914 to 1917. And the activities and trends of the leading figures after its closure are subjects of research. In order to complete this article, newspapers like Shinhanbo, Kookminbo, Park Jong-soo's diary, and Japanese information document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facts were confirmed. First, the Great Joseon National Corps was not made under the leadership of Park Yong-man, but was made by the leading figures who organized the Daedong Gongjin Group at the Hawaii General Assembly of the Korean People's Association. Second, the organization of the Great Joseon National Corps gained momentum in 1913 from the Hawaiian government's proposal to train Korean reserve soldiers. Third, the chairman, vice-chairman, and executives of the Hawaii General Assembly contributed to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the Great Joseon National Corps by providing contracted farms, funding through increased mandatory payments, participation in National Corps and military school, and encouraging members to participate. Fourth, the leaders of the Great Joseon National Corps were officials of the Hawaii General Assembly, soldiers of the Korean Empire, and operators of juvenile military schools such as Park Yong-man. Fifth,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Great Joseon National Corps, Noh Baek-rin and Park Yong-man tried to organize the National Corps in China and Russia.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can help to grasp the theory of armed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in the Americas and their relationship. Second, it can reveal the background of Park Yong-man and Rhee Syng-man's confrontation and struggle in Hawaii in 1915. Third, it can help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Park Yong-man's attack on Rhee Syng-man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of Shanghai in connection with Beijing's independence activists. Fourth, it can contribute to revealing the network of King’s supporters in the 1910s and early 1920s.

Ⅰ. 머리말
Ⅱ. 대조선국민군단의 창설과 그 주도세력
Ⅲ. 대조선국민군단의 편제와 주도인물
Ⅳ. 대조선국민군단의 약화·해체와 주도인물의 활동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