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전쟁의 해’ 선포와 국내에서의 군사적 활동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declared “Year of Independence War” and military activities in domestic
김은지 ( Kim Eun-jee )
UCI I410-ECN-151-24-02-088746038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1920년은 특별한 시기였다. 임시정부가 통합을 이루고 난 직후이기도 했고, 국무총리 이동휘가 합류하고 만주지역의 독립운동 단체들이 임시정부 봉대를 선언하여 군사적인 자신감도 생긴 때였다. 국제정세의 변화도 임시정부가 일제와 전쟁을 할 수 있고 승리할 가능성이 있다는 기대감을 주었다. 연통부 설치를 통해 국내에 대한 임시정부의 장악도 확대되어 갔다. 이러한 기대감이 한데 모아져 임시정부는 독립운동의 방략을 새롭게 구상하게 되고 1920년 신년축하식 자리에서 大政方針을 발표하였다. 1920년 임시정부의 대정방침은 군사, 외교, 교육, 사법, 재정, 통일의 6대사가 나아갈 방향에 관한 것이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군사 방침으로, 그동안 독립운동을 평화적으로 계속하려는 방침을 고쳐 전쟁하려 한다는 의지를 내외에 선포하였다. 그러나 임시정부가 이야기한 독립전쟁은 즉시 開戰이 아닌, 전쟁을 위한 준비를 시행하여 개전 단계에까지 가는 것이었다. 이는 임시정부의 실제 형편을 고려한 결과였다. 전쟁을 실천하기 위해선 먼저 군사가 준비되어야 했고, 지속적인 무력투쟁을 전개하는 것으로서 강경한 임시정부의 모습을 보여야 했다. 그 결과 대한민국 영토인 국내에서 국민개병주의를 현실화하고 칠가살 처단을 전개하는 것으로서 임시정부는 독립전쟁을 위한 노력을 실천해나갔다.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s 1920 was a special time. It was also shortly after the temporary government was unified, and when Prime Minister Lee Dong-hui joined and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in Manchuria declared temporary military service, military confidence was also raise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lso gave rise to the expectation that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uld fight against Japan and possibly win.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Communication also led to the expans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Korea. With this anticipation brought together, the Provisional Government reimagined the strateg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announced the Great Government Law at the New Year's Celebration in 1920. The provisional polic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1920 was about the direction of the six ambassadors of the military, diplomacy, education, justice, finance, and unification. The most important of these is the military policy, in the meantime, proclaimed the will to war by revising the policy to continue the independence movement peacefully. However, the war of independence spoken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not immediately a surprise, but the preparation for war was carried out to the opening stage. This was the result of considering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order to practice the war, the military had to be prepared first, and it had to show a strong provisional government as a continuous armed struggle. As a result, the govern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mplemented efforts for the Revolutionary War by realizing national disease in Korea,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carrying out the execution of the Chilsar.

Ⅰ. 머리말
Ⅱ. 임시정부의 ‘독립전쟁의 해’ 선포와 군사방침
Ⅲ. 국내 비밀결사를 통한 國民皆兵 실행
Ⅳ. ‘七可殺’처단을 통한 국내에서의 무력투쟁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