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68
18.97.9.168
close menu
Accredited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 개발의 논리와 교육적 의미
The Logic of developing ‘Grammar’ area of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and Educational Meanings
남가영 ( Nam Gayeong )
청람어문교육 vol. 92 369-407(39pages)
UCI I410-ECN-151-24-02-088723900

본고는 2022년 12월 고시된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문법’ 영역 개발의 논리를 탐색하고 그에 따라 개발된 문법 영역의 특징을 항목별로 분석한 후, 주목할 만한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육적 의미를 탐색, 공유, 소통하고자 하였다. 공통 교육과정 <국어> 과목의 ‘문법’ 영역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개정 취지 및 방향,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등에 입각하되, 그간의 학문적 성과와 교육 현장의 요구 등을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 체계의 설계, 내용 요소의 선정 및 계열화, 성취기준의 개발로 나누어 ‘문법’ 영역의 개발 논리를 기술하되,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특징을 유목화하고 이를 관련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을 가져와 체계적으로 탐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발 논리에 의거해 설계된 ‘문법’ 영역의 특징을 잘 드러내어 주는 주목할 만한 성취기준을 선정하고 그 교육적 의미와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특징을 공유, 해석, 소통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logic of developing ‘grammar’ area of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its main characteristics, then suggests some educational meanings for its implementation. ‘Grammar’ area has been developed based on national social needs,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es, 2022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etc. According to process of proposing big ideas, designing content framework, choosing and sequencing contents,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the logic of developing ‘grammar’ area has been synthetically explored, then characteristics of ‘grammar’ area(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examined in detailed. After that, some noticeable achievement standards have been examined in depth about what the intent of developing those standards is, and how we can implement those standards in grammar class.

Ⅰ. 서론
Ⅱ. 2022 개정 ‘문법’ 영역 개발의 논리
Ⅲ. 2022 개정 ‘문법’ 영역의 특징
Ⅳ. 주목할 만한 성취기준과 그 의미
Ⅴ. 논의 및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