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52.78
18.191.252.78
close menu
KCI 우수
한국프로농구 경기 중 열세 상황에 대한 인식이 경기결과에 미치는 영향: 전망이론에 근거한 실증연구
Pain and Gain? The Effect of Perceiving In-game Trailing Situation on KBL Game Results: An Empirical Research based on Prospect Theory
김필수 ( Kim Philsoo ) , 최준규 ( Choi June Kyu )
DOI 10.23949/kjpe.2023.5.62.3.35
UCI I410-ECN-151-24-02-088723713

본 연구는 전망이론에 근거하여 프로스포츠 경기 중 열세 상황에 대한 인식이 동기부여 효과로 이어져 경기결과에 영향에 미치는지를 실증연구를 통해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을 위한 표본으로 한국프로농구(KBL) 원년인 1997시즌부터 2021~2022시즌까지 KBL의 챔피언 결정전 131경기의 결과를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표본의 경기데이터를 대상으로 회귀 불연속설계를 이용하여 전반전 및 3쿼터 종료 시점에서의 점수 차에 따른 홈팀 승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전 종료 후 홈팀의 승률 변화는 배정점(점수 차=0) 근처에서 하락 단절로 나타나, 홈팀이 근소한 열세 상황을 인식하는 것이 홈팀에게 동기부여로 작용함을 보여주었다. 둘째, 3쿼터 종료 후 홈팀의 승률 변화는 배정점 근처에서 상승 단절로 나타나, 3쿼터 종료 후에는 열세 상황의 인식이 경기의 승률에 영향을 줄 만큼의 동기부여로 작용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증적 근거를 통해 전망이론을 토대로 한 스포츠 행동 해석에 관한 선행연구의 논의를 확장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의 실무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 또한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prospect theory,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perception of in-game trailing situation during professional sports matches leads to motivational effects and influences the game results. The results of 131 Korean Basketball League (KBL) championship games from the 1997 season, the first year of KBL, to the 2021-2022 season were collected as data for this empirical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ll-time winning probability of home team and the score difference at the half-time and the end of the third quarter was analyzed using a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t the half-time, there was a dropping discontinuity around the cutoff (score difference=0) in the relationship. This meant that perceiving the trailing situation may operate as a meaningful motivator for the home team at the half-time. Secondly, at the end of the third quarter, a jumping discontinuity was observed around the cutoff in the relationship. This showed that perceiving the trailing situation cannot serve as a significant motivator for the home team at the end of the third quarter.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the current research expanded the discussion of existing studies on the interpretation of sports behavior based on the prospect theory.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findings and suggeste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