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1
18.97.14.91
close menu
젠더기반 국제개발협력과 인권
신혜수
UCI I410-ECN-151-24-02-088718767
* This article is free of use.

2015년 국제연합(United Nations, 이하 UN)이 채택한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는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목표들 중 하나로 ‘성평등(gender equality)’을 포함하고 있다. 동시에 ‘성평등’은 모든 다른 16개의 개발목표에 주류화되어야 할 것이 요구된다. 개발협력에 있어 젠더란 무엇인가? SDGs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개발협력에 젠더가 왜 중요한가? 성 주류화는 무슨 의미이고, 어떻게 하는 것인가? 또한, 성평등이 목표로 설정되기까지 어떤 국제적 논의가 있었는지 그 맥을 짚어봄으로써 성평등의 기준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베이징 행동강령, 여성차별철폐협약 등 기본 인권문서들을 소개하고, 성평등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으로 채택된 성 주류화의 내용도 간단히 논의한다. 또한, SDGs의 각 목표에 젠더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세부목표들을 살펴본다. 젠더기반 국제개발협력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한국국제협력단이 수행하고 평가가 끝난 12개 개발협력사업을 분석하여 과연 범분야로 주류화하게 되어있는 젠더 측면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효과적인 젠더기반 개발협력을 위한 실천적 과제도 제시하였다.

Ⅰ. 들어가며
Ⅱ. 젠더와 개발
Ⅲ. 성평등의 국제적 기준 확립
Ⅳ. 성평등 달성을 위한 전략: 성 주류화
Ⅴ. 젠더기반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여성인권 강화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