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고등학교의 학교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현재와 미래 - 대정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Present and Future of School Curriculum, Education and Assessment - Focusing on the Case of Daejeong High School’s credit system -
강희진 ( Kang Hee-jin )
백록어문교육 31권 117-136(20pages)
UCI I410-ECN-151-24-02-088717064

이 연구는 제주 대정고등학교(2018∼2020학년도 고교학점제연구학교 지정·운영)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2018학년도부터 운영하고 있는 고교학점제를 살펴보고,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후의학교 교육 변화 모습을 연계하여 제시하였다. 선택형 교육과정의 적극적 운영을 통한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으로의 변화, 학생 참여형 수업 확대 및 다양한 융합수업 전개, 활동 중심의 창의적 체험활동 확대를 통한 수업의 변화, 성취평가제 운영 및 학생 책임지도 강화를 통한 평가의 변화 등과 관련한 대정고등학교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된 후의 모습을 제시하며, 이와 관련하여 미래형 교사 양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ed from the 2018 school year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Jeju Daejeong High School(selection and oper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from 2018 to 2020), and school education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at fully introduce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changes were present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Change to student-customized curriculum through active operation of selective curriculum, Expansion of student participation-type classes and development of various convergence classes, Class changes through the expansion of activity-oriente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case of Daejeong High Schoo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nd changes in evaluation through strengthening student accountability guidance and It presents the state after the ful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lso, in this regard, it was proposed to nurture future teachers.

1. 들어가며
2. 학교교육과정의 변화
3. 수업의 변화
4. 평가의 변화
5. 나오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