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대한민국의 유엔 가입 의의와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 활동
Significance of Korea’s Joining the United Nations and Its Contribution as a Non-permanent Member in the Security Council
신동익 ( Shin Dong-ik )
외교 139권 53-73(21pages)
UCI I410-ECN-151-24-02-08871264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2021년은 대한민국이 1948년 정부 수립 후 오래 염원하였던 유엔 가입이 실현된 지 30년이 된 해이다. 1991년 유엔 가입 후 30년 동안 우리나라가 유엔외교에서 얻은 성과는 괄목하며,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의 10년간 재임,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두 번(1996~1997 및 2013~2014 임기) 수임, 공적개발협력(ODA)의 공여국 지위 전환, 많은 국제기구에서 의장직 수임과 다양한 국제 회의 유치 등을 들 수 있다. 길지 않은 시간에 우리의 기여는 우선 양적인 면에서 이루어졌으며, 질적인 면에서도 점차 평화활동, 군축ㆍ비확산, 개발협력, 기후변화, 보건, 여성, 청년 등 글로벌 이슈 해결에 기여하는 선도국가의 일원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다. 필자는 2001년부터 제네바 및 유엔대표부와 본부 그리고 비엔나에서 유엔 및 다자외교 업무를 담당하였고, 2013~2014년 우리의 안보리 이사국 수임 시 뉴욕과 서울에서 안보리 외교 활동을 경험하였다. 이를 회상하여 유엔 가입 후 반기문 사무총장 및 우리의 안보리 이사국 활동의 성과와 의미를 짚어 보고, 30년간 고속 성장 과정 이후 우리에게 주어진 도전 및 한계와 함께 앞으로 유엔 및 다자외교를 강화하기 위한 추진 방향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Year of 2021 is the 30th anniversary of the Republic of Korea’s joining the United Nations (UN) in 1991 which was long-time yearning for Korea since the establishment of its legitimate government in 1948. For its 30 years’ diplomacy in the UN, it is remarkable to note Korea’s achievements such as Secretary General Ban Ki-moon’s devoted service for 10 years, non-permanent membership in the Security Council twice for the terms of 1996-97 and 2013-14, transition from recipient to donor country in the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status, and conducting chairmanship and hosting important international conferences in various areas. In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Korea’s contribution to the UN was quantitative first, but it has gradually become more qualitative in the field of peace keeping,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climate change, health, youth, women and so on. By doing so, Korea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leading countries which contribute greatly to address pending global issues. The author had worked for the UN and multilateral diplomacy as a career diplomat in Geneva, New York and Vienna as well as at the headquarters. Based on his experience of activities in the UN, particularly in the Security Council (2013-14), Korea’s contribution as a member of the Security Council and legacy left by Korean Secretary General Ban will be reviewed. In addition, mid-and long term direction and ways to actively pursue Korea’s UN and multilateral diplomacy will be presented together with challenges and limitations given to Korea after its fast development in the UN diplomacy for past 30 years.

Ⅰ. 대한민국의 유엔 가입과 의의
Ⅱ.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한승수 총회 의장의 활동
Ⅲ.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 의미 및 활동 사례
Ⅳ. 가입 30년 이후의 유엔 및 다자 외교 강화 방안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