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2
18.97.14.82
close menu
한ㆍ칠레 관계
6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le, Friendly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장근호 ( Jang Keun-ho )
외교 vol. 137 99-117(19pages)
UCI I410-ECN-151-24-02-088712167
* This article is free of use.

1962년 외교관계 수립 이래 우호협력관계를 발전시켜 온 한국과 칠레는 2022년 수교 60주년을 맞이한다. 칠레는 중남미에서 최초로 대한민국 정부를 승인하고 한국 최초의 FTA를 체결한 국가이다. 칠레는 다양한 기후와 지리적 특성을 기반으로 광물과 농업을 핵심 산업으로 발전시켰다. 한국은 칠레와 구리 등 광물자원과 농산물을 수입하고 자동차, 전자제품 등을 수출하며 칠레와 호혜적인 교역 구조를 발전시켜 왔다. 특히 2004년 발효된 FTA는 양국 간 교역 확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최근 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의 대 칠레 투자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남미 최초의 OECD 국가인 칠레는, APEC 가입, CPTPP 참여, 태평양동맹(PA) 결성 등을 통해 태평양권의 역내 협력 확대를 적극 추진해 왔다. 최근 칠레는 미국과 전통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중국과는 통상.투자 증진을 중시하는 실용적인 대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한ㆍ칠레 FTA 개선과 한국의 태평양동맹 준 회원국 가입이 성사되면 양국 간 통상,투자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또한 양국은 앞으로 수소경제, 천문과학, 남극연구, 기후변화 등 한국의 기술력과 칠레의 다양성을 연계한 분야에서 한 차원 높은 협력이 기대된다. 향후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서는 상호 이해 증진과 새로운 협력 분야 창출을 위해 기존의 양국 간 협의체 활성화와 함께 새로운 1.5트랙 협력메커니즘 구축, 상대국에 대한 연구와 청년교류 등을 촉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주칠레대사관은 현지에 진출한 KOTRA, 진출지상사 등과 함께 긴밀히 협력하며 최 일선에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다.

Korea and Chile, having developed friendly and cooperative relations since 1962, will celebrate the 6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hip in 2022. Chile was the first country in Latin America in recognizing the Korean government and signing Korea’s first FTA. Chile, with its diverse climate and unique geographic features, has developed agriculture and mining as its core industries. Korea has forged a mutually beneficial trade structure with Chile, import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mineral resources such as copper, and exporting automobiles, electronic products among others. The bilateral FTA, which entered into force in 2004, has played a key role in expanding bilateral trade. It is noticeable that, in recent years, Korea’s investment in Chil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nergy sector. Chile, being the first OECD country in South America, has actively pursed regional cooperation in the Pacific Rim by joining APEC, participating CPTPP and forming the Pacific Alliance(PA). Chile keeps a pragmatic foreign policy that values the traditional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promotes trade and investment with China. The conclusion of ongoing negotiation to revise the Korea-Chile FTA and to allow Korea’s joining the Pacific Alliance as an associate member is to contribute to expanding further bilateral trade and investment. In addition,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e two countries will level up their cooperation in the fields of hydrogen economy, astronomy, Antarctic research, climate change and other areas where Korea’s technology and Chile’s geo- and bio-diversity are combined. To enhance bilateral relationship in the future, both countries should make more efforts to revitalize existing dialogues, to establish a new 1.5-track dialogue and to promote studies on each other and youth exchanges for one’s better understanding of the other and identifying new areas of cooperation. The Embassy of Korea in Chile will continue its efforts as a front-runner by closely working with various public and private entities from Korea in the Chile.

Ⅰ. 들어가며
Ⅱ.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는 칠레
Ⅲ. 칠레 외교정책
Ⅳ. 한ㆍ칠레 관계
Ⅴ. 나가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