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0
18.97.14.80
close menu
오수암거 개축 및 갱신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사례
A case study on the basic design concepts of renewal procedures for urban sewage culverts in Japan
( Shogo Tanaka ) , ( Shunsuke Kitano ) , ( Hidakazu Itai ) , ( Satoru Shibuya ) , ( Jin-suk Hur )
UCI I410-ECN-151-24-02-088707648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OSYNOPSIS 하수도 서비스의 보급과 더불어 하수관로나 처리장 등의 스톡도 확대되고,이와 함께 시설의 노화도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도 매년 증가하고 관로의 노후화에 따른 도로함몰 등의 위험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일본은 2008 년도에 하수도 장수명화 지원제도가 창설되어 2013 년도 이후는 공적자금 교부대상 사업으로 개축(갱신,장수명화 대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장수명화 계획을 따르도록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노후화한 시설을 개축하여 건전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수명화 계획 수립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장수명화 계획에서는 손상 열화가 확인된 관로에 대한 대책(개축, 수선)과 계획기간내의 년도별 사업량을 명시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각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상황은 앞으로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어 한정된 자원으로 효과적인 유지관리 사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시설의 노화도,중요도 및 투자의 평준화 등을 고려한 개축갱신의 우선순위 결정이나 사업계획 스케쥴 수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하수도 관로를 대상으로 한 장수명화 계획에 따른 우선순위 검토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