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4
18.97.9.174
close menu
교량 점검 로봇 카메라를 활용한 교량점검 업무 사례
A case study of road bridge inspection works using a high resolution crack inspection camera
( Jun Taniguchi ) , ( Masahiko Tsubomoto ) , ( Satoshi Kawashima ) , ( Keita Nambu ) , ( Jin-suk Hur )
UCI I410-ECN-151-24-02-088707504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SYNOPSIS 일본은 2012 년 12 월에 발생한 「사사고(笹子)터널의 천장 시설물 붕락사고」를 계기로 인프라 유지 관리를 국가전략으로 책정하고 2013 년부터「국토강인화」사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실정이다. 한편,일본 국토교통성에 의하면,일본 전국의 도로 교량수는 약 70 만교에 달하며,건설 후 50 년이 경과한 교량은 전체의 18%정도에 달한다.(2013 년도 기준). 이러한 노후화 교량은 2023 년에는 43%,2033 년에는 67%로 증가가 예상되어 급증하는 노후화 교량에 대해서 적절한 유지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기적인 교량 점검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장수명화를 도모하게 되었다. 이러한 장수명화 계획의 일환으로 일본 정부는 2004 년에 개정한 시설물 정기점검요령을 10 년만인 2014 년에 새롭게 제정하고,보다 엄격한 유지관리를 표방하게 되었다. 특히,신 정기점검요령(2014)에서는 터널 및 교량의 경우,5 년에 1 회「근접육안점검」을 기본으로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정기점검에 많은 비용과 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신 정기점검 요령(2014)에 따라 실시한 일본의 도로교 정기점검업무와 향후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신기술(교량 점검용 로봇 카메라)을 활용한 점검 사례를 간략히 소개하고,교량유지관리 실무에 관한 전망과 과제에 대해서 기술한 것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