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7
216.73.216.17
close menu
KCI 등재
스트리밍 시대 미디어를 통한 한국인의 음악청취행태 분석
An Analysis of Music Listening Behavior in Korea Using Media in the Streaming Era
박재록 ( Park Jaerock )
음악이론연구 40권 109-139(31pages)
DOI 10.36364/JMT.40.4
UCI I410-ECN-151-24-02-088705153

한국에서 스마트폰의 스트리밍 서비스의 앱을 통해 평소 음악을 듣는 사람들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혁신확산이론에 따르면 이런 새로운 기술을 먼저 채택하는 사람들의 성별, 연령, 학력, 소득에 따라 대체로 채택율의 차이가 있다고 한다. 본 연구는 주요한 문화콘텐츠 중 하나인 음악이 스마트폰을 거쳐 스트리밍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대중화되는 시기에 인구사회학적 속성에 따른 음악청취행태의 차이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한국미디어패널 다이어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2011년부터 2022년까지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 기간 동안 일어난 흥미로운 변화들이 발견되었다. 전체적으로 모든 성별과 연령, 학력, 소득 변수에서 음악청취율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각 인구통계학적 변수 별로 보면 성별에 있어 여성은 남성보다 스마트폰과 스트리밍을 더 많이 사용했다. 연령에 있어서는 2010년대 초반에는 연령이 젊을수록 더 많이 음악을 청취했지만 2020년이 되면 10대는 20대보다 적게 음악을 들었고 30대는 40대와 50대보다 음악을 적게 듣는 계층이 되었다. 학력의 경우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음악청취율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의 경우 소득 수준에 따른 음악청취율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스마트폰과 스트리밍을 이용한 음악청취율의 차이도 소득 수준에 따라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스마트폰과 스트리밍은 매체로서의 속성은 다르지만 음악청취를 위해 사용되는 매체로서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몇 가지의 한계점과 아쉬운 부분들이 있지만 2011년 이후 음악청취에서의 미디어 환경이 변화되는 과정에서 음악청취행태의 변화를 추적했고 인구통계학적인 변수별로 의미 있는 발견들을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In South Korea, people listening to music through streaming service apps on their smartphones is increasing. According to 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 there should be differences in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among those who adopt this new technology ear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music listening behavior by these demographic attributes during the period of popularization of the new technology of streaming through smartphones, For this purpose, the Media Panel Diary data provided by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was analyzed. Analyzing data from 2011 to 2022, some interesting changes during this period were found. Overall, music listening rates were found to increase in all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attributes. Within each demographic, women were more likely to use smartphones and streaming than men. In the early 2010s, younger people listened to more music, but by 2020, teenagers listened to less music than 20s, and 30s listened to less music than 40s and 50s.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music listening rat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music listening by income level. The difference between listening to music on smartphones and streaming also showed little difference by income level. Smartphones and streaming have different properties as media, but there is little difference as media used for listening music. While there are some limitations and unsatisfactory parts in this artic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tracked changes in music listening behavior as the media environment has changed since 2011, and makes meaningful findings across demographic attributes.

1. 시작하며
2. 음악청취방식의 변화
3. 스트리밍 시대 음악청취방식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와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