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다니엘 모저(Daniel Moser)의 작품 《살풀이》를 통해 본 21세기 음악에서의 탈식민주의 담론
Postcolonial Discourse in 21st Century Music with a Focus on Daniel Moser’s Salpuri (2017)
손민경 ( Son Mingyeong )
음악이론연구 vol. 40 39-66(28pages)
DOI 10.36364/JMT.40.2
UCI I410-ECN-151-24-02-088705135

본 글은 오늘날 K-문화 열풍으로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에 대한 진전된 관심 속에서 창작된 오스트리아 작곡가 다니엘 모저(Daniel Moser)의 ≪살풀이≫(Salpuri, 2017)를 분석하여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 담론을 고찰한 연구다. 모저는 그간 존 케이지와 루 해리슨과 같은 서양 작곡가들의 동양음악 활용에서 자주 제기된 문화 전유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한국의 전통 무용인 살풀이에 담긴 동양의 비선형적 시간관을 현대음악에서 재생성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에서는 서양음악에서의 음악적 매개변수 중 박절 감각의 와해와 마디의 전복, 이중문화 악기의 병치가 이루어졌다. 중요한 것은 모저의 한국음악 활용이 타 문화의 도구적 전용이 아닌 문화의 상대적 가치와 존재를 인정하여 고유한 한국의 소리를 발굴하려는 성찰(Reflection) 의식이 반영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모저의 작업은 무엇보다 독특한 시간 청취 감각을 환기하며, 궁극적으로 탈식민주의 이론가 호미 바바의 ‘틈새’(in-betweenness)의 미적 함의를 담고 있다. 즉, 한국과 서양의 이질적인 문화가 만났을 때 “차이들이 벌이는 역동적인 교섭의 장(field)”을 구현하면서 제3의 소리 공간을 창출한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Austrian composer Daniel Moser’s Salpuri (2017), composed amid the growing interest of Western composers in Korean music due to the recent K-culture trend, and examines the discourses of postcolonialism. Moser critically considered the musical exoticism that had arisen in the use of East Asian music by Western composers such as John Cage and Lou Harrison. He also tried to recreate the non-linear view of time in the East in Korean traditional dance Salpuri in contemporary music. For this purpose, the disintegration of the sense of rhythm, the subversion of the bars, and the juxtaposition of bi-cultural instruments were composed among the musical parameters in Western music. What is significant is that Moser’s use of Korean music was not a tool for other cultures but a reflection of his intention to discover the unique Korean sound by recognizing its relative value and existence of cultural others. Above all, Moser’s work evokes a unique sense of time listening, and ultimately contains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the ‘in-betweenness’ of post-colonial theorist Homi Bhabha. In other words, when the heterogeneous cultures of Korea and the West meet, the third sound space was created, embodying “a dynamic field of negotiation between differences.”

1. 들어가며
2. 탈식민주의 담론과 음악 창작계의 변화
3. 모저의 ≪살풀이≫ 분석: 한국 전통 무용에 담긴 시간성을 현대 음악에서 재배치하기
4. 서양 음악에서의 음악적 매개변수 비평을 통한 새로운 시간성 청취
5.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