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유엔해양법협약 채택 40주년
The Fortieth Anniversary of the Adoption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김두영 ( Kim Doo-young )
외교 141권 121-139(19pages)
UCI I410-ECN-151-24-02-08869482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대양의 헌법’으로 불리는 유엔해양법협약은 1982년 4월에 뉴욕에서 압도적 다수결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선진국들이 심해저 체제에 대한 불만으로 협약을 비준하지 않고 있어 협약의 미래는 1980년대 말까지 불투명하였다. 선진국들의 우려는 1990년대에 들어 유엔 사무총장이 소집한 비공식 협의를 통해 1994년 7월에 심해저 이행 협정이 채택되며 해소되었다. 또 다른 쟁점이었던 협약 채택 후 대두된 공해 어족 자원의 고갈 문제는 1995년 말에 유엔어족 협정이 채택되고 지속 가능한 공해 어업의 발판이 마련됨으로써 해결되었다. 1994년 11월에 발효한 협약의 현재 당사국은 유럽연합을 포함 168개이다. 협약 이행의 주체는 국가이며, 협약에 따라 신설된 국제해저기구, 국제해양법재판소, 대륙붕한계위원회도 협약에서 부여된 역할을 수행 해오고 있다. 국제해저기구는 심해저 광물자원 탐사 규칙을 성안하였으며, 현재는 개발 규칙을 준비하고 있다. 국제해양법재판소는 당사국들이 제기한 협약의 해석과 적용에 관한 분쟁을 다루어 왔으며, 제7부속서 중재재판소와 국제사법재판소 역시 협약의 해석과 적용에 관한 분쟁을 다루어 오고 있다. 대륙붕한계위원회는 지금까지 연안국들이 제출한 200해리 이원 대륙붕에 관한 96개의 신청서를 접수하여 35개에 대하여 권고를 하였다. 지난 40년간 협약은 대양에서 법의 지배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국제 평화와 안전 증진에 크게 기여하였다. 유엔에서는 2015년부터 협약에 바탕을 둔 국가관할권 이원의 생물다양성의 보존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관한 구속력 있는 국제문서를 성안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한편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시 해안선이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서가 수면 아래로 사라질 수 있는데 국제법위원회는 이런 변화가 야기하게 될 영향을 논의 중이다. 또한 기술 발전으로 등장하게 될 무인 자율주행 선박 운항과 관련한 쟁점은 국제해사기구에서 논의 중이다. 국제사회는 이미 1990년대에 2개의 이행 협정을 채택한 경험이 있다. 이에 비추어 국가관할권 이원의 생물 다양성의 보존 및 이용 문제, 해수면 상승의 영향 및 무인 자율주행 선박 등 새로이 대두된 문제도 협약을 바탕으로 적절한 해결 방안을 강구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ith an overwhelming majority,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hereinafter “the UNCLOS”) was adopted in April 1982 in New York. Nevertheless the its future loomed uncertain until the late 1980s as advanced industrialized States were not ready to ratify it because of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Part XI seabed regime. It is not until July 1994 when the Part XI Implementation Agreement was adopted through the informal consultations convened by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that the concerns of advanced industrialize States were addressed. Fisheries resources being rapidly depleted in the high seas was another issue which emerged after the adoption of the UNCLOS. This issue was dealt with through the adoption of the UN Fish Stocks Agreement which provides a basis for sustainable fisheries in the high seas. The UNCLOS entered into force in November 1994, the number of its States Parties staying at 168 including the European Union. States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the UNCLOS, while the 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 the International Tribunal for the Law of the Sea and the Commission on the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 created by the UNCLOS carry out their respective functions assigned to each of them under it. To date the Authority has drawn up three sets of exploration and prospecting regulations on deep seabed minerals, and one set of exploitation regulations is under preparation. The Tribunal has dealt with the disputes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UNCLOS brought before it by the States Parties. Likewise, the annex VII arbitral tribunals and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have handled the disputes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UNCLOS submitted to them. The Commission has so far received 96 submissions and issued 35 recommendations. Over the last four decades the UNCLOS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establishing the rule of law in the oceans, thus making a great contribution to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Since 2015 the United Nations has been working to draw up an international legally binding instrument under the UNCLOS on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marine biological diversity of areas beyond national jurisdiction.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is considering the potential consequences of sea-level rise caused by the global warming such as moving landward of coastlines and disappearing islands.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s dealing with the issues relating to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MASS) which are to be on service by virtue of the advancement in technology. In the 1990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dopted two implementation agreements under the UNCOLS. In light of this preceden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expected to find appropriate solutions, under the UNCLOS, to the conservation and use of marine biodiversity beyond areas of national jurisdiction, the consequences of sea-level rise and the issues relating to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Ⅰ. 포괄적 국제 해양 규범의 출현
Ⅱ. 심해저 이행 협정 및 공해 어족 이행 협정 채택
Ⅲ. 협약 이행
Ⅳ. 평가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