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0
18.97.14.80
close menu
2050 탄소중립을 위한 파리협정 이행과 우리의 과제
The Implementation of Paris Agreement and Our Task for 2050 Carbon Neutrality
최재철 ( Choi Jai-chul )
외교 vol. 141 84-99(16pages)
UCI I410-ECN-151-24-02-088694806
* This article is free of use.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2015년 채택된 파리협정은 2021년부터 본격 이행에 들어갔다. 파리협정은 193개 당사국이 ‘상이한 국가 여건에 비추어 공통적이지만 그 정도에 차이가 나는 책임과 각자의 능력(CBDR/RC/NC)’이란 기본 원칙에 따라 매5년마다 ‘국가결정기여(NDC)’라는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포함한 기후위기 대응계획을 제출하고 이행 성과를 매2년마다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전 세계 온실가스 80%가량을 배출하는 G20 회원국을 비롯한 전 세계 140여 개국이 협정 기본 원칙을 고려하여 2050년, 2060년 또는 2070년을 탄소중립 목표년도로 제시하였다. 1992년 채택된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개도국으로 분류되었던 한국은 파리협정 협상과정에 선진국과 개도국의 명시적 구분 없이 각국의 역량과 여건에 따라 자발적으로 기후행동을 취하는 체제를 지지하면서 기존 선진국과 차별화된 입지를 확보하였다. 2020년 10월 한국 대통령의 2050 탄소중립선언은 파리협정이행을 위한 한국의 지위를 기존 선진국과 동일 선상에 두는 대단히 의욕적인 정책 전환이었다. NDC 목표의 후퇴금지 원칙을 담고 있는 파리협정의 규범을 고려할 때 5월에 출범하는 신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신정부는 기존 선진국들이 60여 년에 걸쳐 도달하려는 탄소중립목표를 불과 30년 만에 달성하겠다고 국제적으로 공언한 문 정부의 약속을 실질적으로 이행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신정부는 좌우 진영대립을 벗어나서 우리 실정에 부합하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기후 대응 정책을 마련하고 이행해야 한다. 국제 사회에서 말과 행동이 다른 ‘기후 악당’이란 오명에서 벗어나야 할 과제가 신정부 앞에 놓여 있다.

The Paris Agreement, adopted in 2015 in response to the global climate crisis, is effectively being implemented from 2021. The Paris Agreement reflects “the principle of 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ies and respective capabilities, in the light of different national circumstances” of its 193 parties and based on this principle requires the submission of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NDCs) specifying greenhouse gas reduction objectives, every 5 years and biennial reports on the progress. Over 140 countries, including G20 countries, responsible for approximately 80% of global greenhouse gases, have proposed to reach carbon neutrality by 2050, 2060, or 2070 based on the agreement’s core principles. Korea, which was initially categorized as a developing party according to the 1992 UNFCCC, during the negotiations leading to the Paris agreement, supported the principle of each nation taking voluntary climate action based on each nation’s capabilities and conditions without classifying developed and developing nations and thus achieved a differentiated position compared to other developed nations. The announcement by the Korean president in October 2020, to reach carbon neutrality by 2050 was a highly ambitious policy shift that raised Korea’s standing to be comparable to that of other developed nations in its effort to implement the Paris Agreement. Considering the Paris Agreement’s principle on the progression of NDC objectives, the role of the new Administration coming in May will be especially important. The incoming Administration will have to actually follow through with the promises made by the Moon Administration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only 30 years, in contrast to developed countries that aimed to do so over 60 years. To accomplish this, the new Administration will have to overcome partisan rivalry to draft and implement creative and innovative climate policies that reflect our real conditions. A significant task for the new Administration will be to not be framed as a “climate villain” for not keeping its word, but be recognized as an example by implementing the Paris Agreement in practical and pragmatic way.

Ⅰ. 들어가는 말
Ⅱ. 파리협정: 탄소중립을 위한 글로벌 기후협력 토대
Ⅲ. 주요국가의 탄소중립 목표설정과 이행 정책 현황
Ⅳ. 한국의 2050 탄소중립 목표 선언과 신정부의 과제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