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가 경험하는 읽기 불안의 양상과 요인, 그리고 학습자의 성별, 언어 학습 과정에 따른 불안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읽기 불안 의 측정은 외국어 읽기 불안 척도(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Scale: FLRAS)를 활용하여 109명의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측정 결과 초급 학습자는 읽기 불안의 평균 점수가 2.95이며 중간 수준의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 요인 분석 결과, ‘낯섦에 대한 불안’, ‘자기 효능감 불안’, ‘읽기 전략 부족 불안’ 총 3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그중 ‘자기 효능감 불안’의 불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낯섦에 대한 불안’ 요인이 가징 낮은 불안도를 보였다. 읽기 불안과 각 문항 및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르는 것에 관한 문항들이 전체 읽기 불안과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요인별로는 ‘자기 효능감 불안’이 모든 요인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성별과 언어 학습 과정에 따른 불안에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에 주목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로 초급 학습자의 읽기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dealt with the patterns and factors of reading anxiety experienced by beginner Korean learners and differences in anxiety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course. Reading anxiety was measured by 109 foreign learners using the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Scale(FLRAS). As a result of this measurement, it was found that beginner learners had an average score of 2.95 for reading anxiety, which demonstrated an intermediate level of anxie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nxiety factors,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anxiety about unfamiliarity', 'anxiety of self-efficacy', and 'anxiety of lack of reading strategies'. Among them, 'self-efficacy anxiety' was the highest, and the 'anxiety about unfamiliarity' factor was the lowe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nxiety and each question and the factor, it was found that questions about what learners didn't know had a very high correlation with overall reading anxiety. Moreover the factor 'self-efficacy anxie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overall reading anxiety. Overall anxie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course they tak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primary data to reduce the reading anxiety of beginner Korean lear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