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9
18.97.14.89
close menu
초분광 카메라 측정을 통한 축산사료의 함수율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Moisture Content of Livestock Feed through Hyperspectral Camera Measurement
우승민 ( Seung Min Woo ) , 강석호 ( Seok Ho Kang ) , 김용직 ( Yong Gik Kim ) , 박형규 ( Hyung Gyu Park ) , 손진호 ( Jin Ho Son ) , 김영수 ( Yeong Su Kim ) , 하유신 ( Yu Shin Ha )
UCI I410-ECN-151-24-02-088680802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표준 오븐법을 사용하여 측정된 축산사료의 함수율과 분석기기를 통하여 수집된 HSI 이미지 매칭을 위하여 밀도에 따라 무게(50-100g)가 있는 원형 Petri 접시(90×15mm)에 시료의 표면을 고르게 분포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샘플의 영상 획득에는 라인 스캔 방식의 단파 적외선 초분광 영상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초분광 영상 시스템은 카메라(Hyperspect SWR, Headwall Photonics, Fitchburg, MA, USA), 25 mm f/1.4의 C 마운트 렌즈 및 이동 스테이지로 구성하였고. 샘플을 카메라 시야(FOV) 쪽으로 이동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래밍된 모터 구동 샘플 단계를 통합하였다. 894~2504 nm의 스펙트럼 파장 범위와 약 5.85 nm의 스펙트럼 간격을 사용하여 총 275개의 스펙트럼 대역을 카메라 설정으로 사용하였으며, 100W 텅스텐 할로겐 램프(Light Bank, Ushio Inc., Japan)를 조명으로 사용하였다. 샘플이 들어 있는 Petri 접시는 이동식 스테이지에 장착된 샘플 홀더에 배치 하였으며. 샘플에서 카메라 렌즈까지의 거리는 5.3mm/s의 스캔 속도에서 샘플당 600회 수집하였다. 획득된 초분광 영상은 두 개의 공간 차원(x와 y)과 스펙트럼 차원(θ)을 포함하는 3차원 형식으로 수집하였으며. 하나의 영상을 측정하는 데 총 28초가 소요되었다 이미지 처리로 예측한 함수율 모델과 실측 함수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모든 방법은 93% 이상의 양호한 예측 정확도(R2)와 5% 미만의 예측 오류(SEP)로 나타나며 다수의 샘플에서 수분 함량에 대한 예측 값은 정확한 것으로 분석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