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인 환경 문제로 인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배출 계수 및 부하율(Load factor, LF)이 요구된다. 현재 LF는 농업기계를 포함하는 비도로 이동오염원에 대하여 기종, 출력, 작업조건 등에 관계없이 단일화된 수치인 0.48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비도로 이동오염원에는 다양한 기종이 있으며, 특히 농업기계도 기종별, 작업조건별로 LF가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 EPA에서는 농업기계의 기종별 LF를 세분화하고 있으며, 그중 농업용 소형 관리기의 LF를 0.62로 사용한다. 하지만, 국내에서 농업기계의 LF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LF에 대한 연구는 건설기계와 일부 농업기계 분야에서 수행되고 있다. 특히, 농업기계분야에서는 트랙터를 중심으로 연구가 일부 진행되었으며, 그 외 기종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형 다목적 관리기의 작업조건(작업 종류, 작업 단수)에 따른 엔진 LF를 계측하고 이를 현행 적용 중인 LF(0.48), 미국 EPA LF 등과의 비교를 통해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관리기 엔진의 최대 토크는 23 Nm(@1,400 rpm)이며, 엔진 최대 출력은 4.6 kW(@2,200 rpm)이다. LF 산정을 위하여 토크와 회전속도 수집이 가능한 토크센서(T27 Hollow Flandge, Interface Co., USA)를 엔진 출력축에 설치하였고,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DAQ (NI-USB 6212, NI, USA)를 활용하였다. 필드 시험은 관리기의 주요 작업인 구굴작업과 로터리 경운작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PTO는 1단(335 rpm)으로 설정하였다. 엔진 토크 및 회전속도를 이용하여 엔진 출력을 계산하였고, 실시간 출력과 정격 출력을 이용하여 LF를 산출하였다. 또한, 작업별 가중치와 작업별 평균 LF를 이용하여 통합 LF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평균 LF는 구굴 복토작업 시 1.87 및 3.10 km/h에서 각각 0.56 및 0.69로 나타났으며, 로터리 경운 작업 시 1.87 및 3.10 km/h에서 각각 0.73 및 0.77로 나타났다. 또한, 가중치를 고려하여 산출된 통합 LF는 0.69의 값을 보였다. 이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LF인 0.48 대비 약 142%, EPA LF(0.62) 대비 11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별로 측정한 LF 값의 범위는 0.56~0.77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행 적용 중인 0.48과 비교할 때 116~160% 높은 수준이다. 본 연구 결과는 농기계 분야의 LF 값의 현행화 및 세분화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