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수업체의 자체 품질보증능력 향상과 정부 품질보증 활동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1998년에 국방품질경영체제 (DQMS, 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상당수의 군수업체는 심사 수검 및 부적합의 시정조치 제출 등 최소한의 인증유지 활동만 수행하고 있어 국방품질경영체제의 효과적인 활용이 기대만큼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방기술품질원은 DQMS 인증유지 외에도 사후관리 심사 면제 등의 인센티브 부여를 통한 업체 자구노력 유도를 목적으로 국방품질경영체제 정량평가 모델을 개발하였고(2021년), 제도화를 앞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부적합사항 및 관찰사항을 도출하는 기존 심사방식에서 변화된 정량평가 심사방식의 안정적인 제도화를 위하여 현장 적용을 통해 정량평가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개선점을 식별하였다. 이를 위해 DQMS 인증업체 20개사를 대상으로 정량평가 시범 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분석하였으며, 정량평가 시범 평가에 참여한 심사원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정량평가의 개선점을 파악하였다. 식별된 개선 필요사항 중 정량평가 모델의 신뢰성 및 객관성 확보에 필요한 사항을 선별하고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DQMS 정량평가 모델이 안정적으로 제도화되고, 나아가 군수업체의 품질경영시스템 효과적인 활용과 생산품의 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