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5
18.97.14.85
close menu
HLS 기반의 중대시민재해 체계 구축 방안 연구 -중소 제조업의 제품안전 관리 중심으로-
조규선
UCI I410-ECN-151-24-02-088671456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중대재해처벌법은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로 분류되고 있는데, 중대산업재해는 ISO 45001 등 작업자의 산업재해 중심으로 관리되고 있고, 중대시민재해는 안전경영을 위하여 제품안전 항목을 포함하여 ISO 9001에서 부분적으로 관리되고 있느데, HLS(High Level Structure) 관점으로 제품의 안전관리체계의 구축을 중소기업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은 아직 연구 실적 및 활용이 미흡하다. 중소기업의 현재의 안전경영체계는 품질을 위한 ISO 9001과 작업자의 작업안전을 위한 ISO 45001 등 안전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는데, 중대재해처벌에 대한 사전 예방체계를 위해서 각각의 규격을 인증받아 수행하고 있으나, 효과적인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하나의 경영체계에서 중대재해처벌법의 법규요구사항을 만족하는 것이 필요한데, 경영체계의 근간이 되는 HSL 품서화된 체계의 관점으로 품질, 안전, 법규요구사항을 통합하여 손쉽게 현 업무에 추가하여 운영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에서 익숙하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HLS의 문서화된 구조에 품질과 안전, 법규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각자의 해당부서에서 업무를 수행하면서, 추가적인 요구사항과 안전경영 기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양식을 고도화하고 운영되는 업무 절차를 개정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관리 방법을 연구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에서 기존의 문서화된 정보 관리체계를 보완하여 법규체계의 관리를 포함하고 기업의 관점에서 중대시민재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업무 절차 및 적용기법의 활용 방법을 제시하여 주기적인 경영자 및 전 직원의 노력을 통하여 제품 안전경영체계를 운영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